"이병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105번째 줄: | 105번째 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국조방목(國朝榜目)』 | ||
− | [[분류 : 한글고문서]]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인물]] | +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25일 (토) 00:20 기준 최신판
이병모(李秉模) | |
대표명칭 | 이병모 |
---|---|
한자표기 | 李秉模 |
생몰년 | 1742-1806 |
본관 | 덕수(德水) |
시호 | 문익(文翼) |
호 | 정수재(靜修齋) |
자 | 이칙(彛則) |
부 | 이연(李演) |
모 | 남유상(南有尙)의 딸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이칙(彛則), 호는 정수재(靜修齋)이다. 이단하(李端夏)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악진(李岳鎭)이다. 아버지는 이연(李演)이며, 어머니는 남유상(南有尙)의 딸이다. 1806년(순조 6)에 세상을 떠났으며 문익(文翼)의 시호를 받았다. [1]
관직활동
1773년(영조 49) 진사시를 거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당시 영의정 한익모(韓翼謨)의 주청으로 6품에 올랐다. 경기지방·관동지방을 암행하고,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김상로(金尙魯)의 죄를 탄핵하였다. 이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1779년 수찬 이현영의 탄핵을 받아 운산에 유배되고, 1781년에는 사판(仕版)에서 제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곧 복관하여 이후 대사성·이조참판·예조판서·형조판서·호조판서·병조판서·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함경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 등을 거쳐 1794년 우의정에 임명되고, 좌의정을 거쳐 1799년(정조 23) 영의정의 자리에까지 올랐다.[2]
저술활동
경상도관찰사로 재임 중인 1784년에 『돈효록(敦孝錄)』을 간행하였다. 1797년에 정조의 명에 따라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고 수정하여 『오륜행실도』를 간행하였다. 1790년에는 이경화(李景華:1721~?)에게 『광제비급(廣濟秘笈)』의 저술을 의뢰하였고 간행작업에 참여하였다. 1801년 순조 즉위 후에는 실록총재관에 임명되어 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3]
지식 관계망
- 오륜행실도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륜행실도 | 이병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병모 | 한익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병모 | 김상로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돈효록 | 이병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오륜행실도 | 삼감행실도 언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오륜행실도 | 이륜행실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광제비급 | 이경화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광제비급 | 이병모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73년 | 이병모가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
1776년 | 이병모가 김상로(金尙魯)의 죄를 탄핵하였다. |
1784년 | 이병모가 『돈효록(敦孝錄)』을 간행하였다. |
1797년 | 이병모가 정조의 명에 따라 『오륜행실도』를 간행하였다. |
1790년 | 이병모가 『광제비급(廣濟秘笈)』을 간행하였다, |
1801년 | 이병모가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이병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병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병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사료
- 『영조실록(英祖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순조실록(純祖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