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오태학|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
− | + | [[오태학|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부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br/> | |
− |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f>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ref> | + |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f>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ref><br/> |
− | + | 또한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사당과 관련 축제가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ref>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0쪽.</ref> | |
− |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 + |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
− | === | ||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f>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ref><br/> |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f>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ref><br/> | ||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계백 그래프]''' |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계백 표준영정 | + | | [[계백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
|- | |- | ||
− | | [[계백 표준영정 | + | | [[계백 표준영정]] || [[계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계백 표준영정 | + | | [[계백 표준영정]] || [[부여 삼충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계백 표준영정]] || [[오태학]]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44번째 줄: | 51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994년 || [[계백 표준영정 | + | | 1994년 || [[계백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 | |} | ||
60번째 줄: | 6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웹 자원 | #웹 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2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신동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2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494 삼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494 삼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054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054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 #*신형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3/2007112300098.html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 ||
− | [[분류: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표준영정]] |
2017년 11월 28일 (화) 08:42 판
계백 표준영정 | |
한자명칭 | 階伯影幀 |
---|---|
작가 | 오태학 |
제작시기 | 1994년 |
소장처 | 삼충사 |
유형 | 표준영정 |
크기(세로×가로) | 120×161㎝ |
목차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 계백(階伯, ?-660년)의 표준영정.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부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또한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사당과 관련 축제가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2]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계백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계백 표준영정 | 계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계백 표준영정 | 부여 삼충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계백 표준영정 | 오태학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94년 | 계백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전남 고흥에서 발굴된 백제 챙 달린 투구[6]
주석
- ↑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
- ↑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0쪽.
- ↑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 ↑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 한국문화정보원. - ↑ "삼충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참고문헌
- 웹 자원
- 신동하, "계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삼충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계백",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 신동하, "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