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암 최익현 유배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지식 관계망)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황현과 최익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3/E0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2017년 11월 24일 (금) 18:38 판
면암 최익현 유배도(勉菴 崔益鉉 流配圖) | |
대표명칭 | 면암 최익현 유배도 |
---|---|
한자표기 | 勉菴 崔益鉉 流配圖 |
유형 | 회화 |
저자 | 채용신 |
시대 | 조선 |
크기 | 가로 63.5㎝, 세로 143.5㎝ |
판본 | 비단 |
소장처 | 백제문화체험박물관 |
정의
면암 최익현(崔益鉉) 선생이 일제에 의해 체포되어 대마도로 유배를 가는 과정을 담고있는 회화.
내용
최익현 일행이 숭례문을 나설 때부터 대마도에 도착하기까지 과정을 한 장의 비단에 절반씩 나눠 정교하게 담았다. 그림 왼쪽은 일본인이 이끄는 인력거를 탄 면암 뒤에 장남 최영조, 차남 최영학을 비롯해 임병찬, 임병대, 임응철, 최제태, 최영설, 최만식, 최전구, 이승희 등 10명이 뒤따르고 있다. 그림 오른쪽은 부산 초량역에 기차가 도착한 뒤 부산항에 이르러 면암과 임병찬이 조각배에 올라 일본 상선으로 옮겨타고 오륙도를 거쳐 대마도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1]
최익현이 서울역부터 대마도까지 유배 가는 과정을 기록화적 기법으로 묘사했다. 관악산을 비롯해 남태령 고개와 동작동 등 지리를 위성사진처럼 세밀하게 표현한 게 특징으로 흥미로운 근대문화 사료라는 평가가 나온다.[2]
2016년 10월 20일 입수된 유배도는 관련 교수 등 전문가들의 감정을 통해 조선 말기 화가인 채용신 선생이 운영하던 미술서화공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3]
지식 관계망
- 황현과 최익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면암 최익현 유배도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면암 최익현 유배도 | 채용신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최정복, "면암 최익현 대마도 유배도 국내 첫 공개", 『한국일보』, 작성일:2016년 10월 20일.
- ↑ 최정복, "면암 최익현 대마도 유배도 국내 첫 공개", 『한국일보』, 작성일:2016년 10월 20일.
- ↑ 김준호, "독립운동가 '면암 최익현 선생' 일본 대마도 유배도 발견", 『연합뉴스』, 작성일:2016년 10월 20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최정복, "면암 최익현 대마도 유배도 국내 첫 공개", 『한국일보』, 작성일:2016년 10월 20일.
- 김준호, "독립운동가 '면암 최익현 선생' 일본 대마도 유배도 발견", 『연합뉴스』, 작성일:2016년 10월 20일.
- "면암 최익현 유배도", 전시유물, 유물정보,
『백제문화체험박물관』online , 청양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