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인물]]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
+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20일 (월) 18:12 판
황준량(黃俊良) | |
대표명칭 | 황준량 |
---|---|
한자표기 | 黃俊良 |
생몰년 | 1517-1563 |
본관 | 평해(平海) |
호 | 금계(錦溪) |
자 | 중거(仲擧) |
출생지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豊基邑)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부 | 황치(黃觶) |
모 | 황한필(黃漢弼)의 딸 |
정의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현보(李賢輔)의 손서(孫壻)이다.[1]
내용
생애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임명되었으며, 학정(學正), 박사에 이어 전적(典籍)에 올랐다. 1550년 호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고,『중종실록』, 『인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1560년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내다가 1563년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는 도중 예천(醴泉)에서 죽었다.[2] 풍기의 욱양서원(郁陽書院), 신녕의 백학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계집(錦溪集)』이 있다.[3]
학문 및 사상
성리학에서는 이황의 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스승이 기대승(奇大升)과 사칠논변(四七論辨)을 벌일 때, 사단(四端)은 이(理)가 발(發)하여 기(氣)가 따르며,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따른다는 설을 옹호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현보 | 이문량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문량 | 황준량의 처 영천 이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황준량 | 황준량의 처 영천 이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이황 | 황준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금계집 | 황준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 ↑ "황준량",
『두산백과』online . - ↑ "황준량",
『두산백과』online . - ↑ 최승희, "황준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준량",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정시열,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산문(散文) 시탐(試探)」, 『한민족문화연구』 Vol.55, 한민족문화학회, 2016.
유용한 정보
- 황재천, "조선의 지방 공직자 모델 금계 황준량", 『경북일보』, 작성일: 2017년 05월 11일.
- 송의호, "선정(善政)의 표상 금계(錦溪) 황준량", 『중앙시사매거진』, 작성일: 2017년 05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