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중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번째 줄: 16번째 줄:
 
남녀의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76 한국복식사전:중단]</ref>
 
남녀의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76 한국복식사전:중단]</ref>
  
==기원==
+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하상(下裳)과 상의(上衣)가 하나로 만들어지며 중의(中衣)가 생겨남.<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5.</ref>
+
*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국가 의례 및 일생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함.
  
 +
==기본 정보==
 
==어원<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6.</ref>==
 
==어원<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6.</ref>==
 
* 겉옷인 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함.
 
* 겉옷인 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함.
 
* 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함.
 
* 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함.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국가 의례 및 일생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함.
 
 
==내용==
 
 
===유래===
 
===유래===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됨.<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7.</ref>
+
* 하상(下裳)과 상의(上衣)가 하나로 만들어지며 중의(中衣)가 생겨남.<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5.</ref>
 +
*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됨.<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7.</ref>
  
 
===신분별 형태===
 
===신분별 형태===
72번째 줄: 6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명숙(1983)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김명숙(1983)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 服飾 v.7, 한국복식학회
 +
* 김명숙(1992)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
* 김명숙(1992)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v.18, 한국복식학회
 +
* 유희경(1972) 『冕服에 關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
* 崔圭順(2007)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東華大學出版社: 上海.
 +
*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주석==
 
==주석==

2017년 3월 4일 (토) 00:40 판


중단(中單)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중단(中單)
이칭별칭 중의(中衣)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정의

남녀의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1]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국가 의례 및 일생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함.

기본 정보

어원[2]

  • 겉옷인 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함.
  • 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함.

유래

  • 하상(下裳)과 상의(上衣)가 하나로 만들어지며 중의(中衣)가 생겨남.[3]
  •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됨.[4]

신분별 형태

  • 면복의 경우[5]
    •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제 : 12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 왕세손 : 7개
  • 원유관복의 경우[6]
    •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도련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제 : 13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 적의의 경우[7]
    • 왕비, 왕세자빈 : 대홍향직 별의를 중단으로 착용한 것으로 추정됨.
    • 황후, 황태자비 : 옥색 중단을 착용하였으며, 깃·소매끝·도련에 홍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
    • 황후 : 13개
    • 황태자비 : 11개
  • 제복, 조복의 경우[8]
    • 중단의 깃·수구·도련에 흑색 선(縇)을 두름.
    • 초기에는 백색 중단을 착용함.
    • 임진왜란 이후 도포나 대창의로 대신함.
    • 19세기 이후, 다시 청색 중단을 착용함.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중단 관계 관련노드명
중단 관계 관련노드명
중단 관계 관련노드명
중단 관계 관련노드명
중단 관계 관련노드명

참고문헌

  • 김명숙(1983)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김명숙(1983)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 服飾 v.7, 한국복식학회
  • 김명숙(1992)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 김명숙(1992)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服飾 v.18, 한국복식학회
  • 유희경(1972) 『冕服에 關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 崔圭順(2007)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東華大學出版社: 上海.
  •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주석

  1. 한국복식사전:중단
  2.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6.
  3.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5.
  4.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7.
  5. 국립고궁박물관(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p. 33.
  6. 국립고궁박물관(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p. 68.
  7. 국립고궁박물관(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p. 110.
  8. 국립고궁박물관(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p.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