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암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old_book.png |사진출처= |대표명칭= 번암집 |한자표기= 樊巖集 |영문명칭= |이칭= |유형= 고서 |저자= 채제공 |역자= |편자...)
 
(번암집의 편찬)
31번째 줄: 31번째 줄:
 
==내용==
 
==내용==
 
===번암집의 편찬===
 
===번암집의 편찬===
[[채제공]]이 죽은 뒤 [[조선 정조]]가 [[어정범례]]를 내리자 이에 따라 1799년부터 그의 아들 [[채홍원]과 그의 문인 [[정약용]], [[이가환]], [[김도행]], [[이정운]] 등이 교정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1800년 [[조선 정조|정조]]가 죽고 [[조선 순조|순조]]가 즉위하자, [[천주교]]인에 대한 탄압으로 [[채제공]]의 문인들이 다수 숙청되면서 [[번암집]]의 간행이 불가능해졌다. 1823년 [[홍시제]]의 상소를 계기로 [[채제공]]의 관작이 회복된 뒤 1824년에 [[홍시제]]와 [[유태화]]가 목판본으로 간행하여 [[안동 봉정사]]에 보관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ref>김경희,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gubun=book&depth=3&cate1=F&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MI_0543A 번암집]",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
[[채제공]]이 죽은 뒤 [[조선 정조]]가 [[어정범례]]를 내리자 이에 따라 1799년부터 그의 아들 [[채홍원]과 그의 문인 [[정약용]], [[이가환]], [[김도행]], [[이정운]] 등이 교정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1800년 [[조선 정조|정조]]가 죽고 [[조선 순조|순조]]가 즉위하자, [[천주교]]인에 대한 탄압으로 [[채제공]]의 문인들이 다수 숙청되면서 [[번암집]]의 간행이 불가능해졌다. 1823년 [[홍시제]]의 상소를 계기로 [[채제공]]의 관작이 회복된 뒤 1824년에 [[홍시제]]와 [[유태화]]가 목판본으로 간행하여 [[안동 봉정사]]에 보관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ref>김경희,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gubun=book&depth=3&cate1=F&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MI_0543A 번암집]",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
 
 
===번암집의 내용과 구성===
 
===번암집의 내용과 구성===
 
내용은 시(詩)·소(疏)·차(箚)·서계(書啓)·헌의(獻議)·계사(啓辭)·서(序)·기(記)·서(書)·제문(祭文)·애책(哀冊)·애사(哀辭)·지장(誌狀)·전(傳)·발(跋)·비탑문(碑塔文)·명(銘)·찬(贊)·교문(敎文)·전(箋)·장문(狀文)·상량문(上樑文)·설(說)·잡저(雜著) 등이 수록되었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어필제영(御製御筆題詠)·어정범례(御定凡例) 등이 실려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696&cid=40942&categoryId=32892 번암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은 시(詩)·소(疏)·차(箚)·서계(書啓)·헌의(獻議)·계사(啓辭)·서(序)·기(記)·서(書)·제문(祭文)·애책(哀冊)·애사(哀辭)·지장(誌狀)·전(傳)·발(跋)·비탑문(碑塔文)·명(銘)·찬(贊)·교문(敎文)·전(箋)·장문(狀文)·상량문(上樑文)·설(說)·잡저(雜著) 등이 수록되었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어필제영(御製御筆題詠)·어정범례(御定凡例) 등이 실려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696&cid=40942&categoryId=32892 번암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17년 11월 13일 (월) 11:24 판

번암집(樊巖集)
Old book.png
대표명칭 번암집
한자표기 樊巖集
유형 고서
저자 채제공
간행시기 1791년
시대 조선
수량 60권 27책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의

1799년에 제작된 채제공의 시문집이다.

내용

번암집의 편찬

채제공이 죽은 뒤 조선 정조어정범례를 내리자 이에 따라 1799년부터 그의 아들 [[채홍원]과 그의 문인 정약용, 이가환, 김도행, 이정운 등이 교정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1800년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하자, 천주교인에 대한 탄압으로 채제공의 문인들이 다수 숙청되면서 번암집의 간행이 불가능해졌다. 1823년 홍시제의 상소를 계기로 채제공의 관작이 회복된 뒤 1824년에 홍시제유태화가 목판본으로 간행하여 안동 봉정사에 보관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

번암집의 내용과 구성

내용은 시(詩)·소(疏)·차(箚)·서계(書啓)·헌의(獻議)·계사(啓辭)·서(序)·기(記)·서(書)·제문(祭文)·애책(哀冊)·애사(哀辭)·지장(誌狀)·전(傳)·발(跋)·비탑문(碑塔文)·명(銘)·찬(贊)·교문(敎文)·전(箋)·장문(狀文)·상량문(上樑文)·설(說)·잡저(雜著) 등이 수록되었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어필제영(御製御筆題詠)·어정범례(御定凡例) 등이 실려 있다.[2]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번암집 채제공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번암집 정약용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이가환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채홍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김도행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이정운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홍시제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유태화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안동 봉정사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번암집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번암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번암집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어정범례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번암집 어정범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김경희, "번암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2. "번암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경희, *"번암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번암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민식, "번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원호, "명승 전문가 채제공과 번암집", 공감 문화재,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08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