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축산성.<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970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축산성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970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
  
 
=='''내용'''==
 
=='''내용'''==
 
===삼국시대 축조===
 
===삼국시대 축조===
강안(江岸)의 돌출된 산봉우리를 택하여 산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전개된 작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外城)의 이중구조를 하고 있다. 지정면적 361,171㎡, 둘레 약 1,000m.<br/>
+
강안(江岸)의 돌출된 산봉우리를 택하여 산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전개된 작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外城)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지정면적 361,171㎡, 둘레 약 1,000m이다.<br/>
 
정확한 축성연대와 목적은 알 수 없으나, 강안의 험한 절벽을 이용하고 동·북·서로 전개된 넓은 평야를 감싸안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초기의 산성형식과 부합된다. 현재 성벽은 산 정상부의 동남쪽 사면과 외성부의 동북쪽 성벽뿐이며, 서쪽 방면은 내성은 확인되나 외성 성벽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다.<br/>  
 
정확한 축성연대와 목적은 알 수 없으나, 강안의 험한 절벽을 이용하고 동·북·서로 전개된 넓은 평야를 감싸안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초기의 산성형식과 부합된다. 현재 성벽은 산 정상부의 동남쪽 사면과 외성부의 동북쪽 성벽뿐이며, 서쪽 방면은 내성은 확인되나 외성 성벽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다.<br/>  
계곡 쪽의 성벽은 유구를 찾을 수 없으나 산 중복을 돌아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이른바 이중식산성은 삼국시대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주목된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편, 회청색 경질토기편을 비롯하여 어골문(魚骨文)·수지문(手指文)의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 고려시대까지도 간헐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계곡 쪽의 성벽은 유구를 찾을 수 없으나 산허리를 돌아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이른바 이중식산성은 삼국시대의 새로운 형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편, 회청색 경질토기편을 비롯하여 어골문(魚骨文)·수지문(手指文)의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 고려시대까지도 간헐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행주대첩===
 
===행주대첩===
특히, 이 산성은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의 전적지로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으로 유명하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다.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을 벌여 권율을 모시는 [[고양 충장사 | 충장사]](忠壯祠)를 건립하고 정자와 문도 세웠다.
+
특히, 행주산성은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의 전적지로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으로 유명하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다.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을 벌여 권율을 모시는 [[고양 충장사 | 충장사]](忠壯祠)를 건립하고 정자와 문도 세웠다. 1963년 1월 사적 제 56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93번째 줄: 93번째 줄: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970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970 행주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3]]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3]][[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1월 20일 (월) 18:27 판

행주산성
(幸州山城)
"행주산성", 『문화재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행주산성
한자표기 幸州山城
유형 성터
시대 삼국시대
지정번호 사적 제56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관련인물 권율
관련유물유적 행주대첩비



정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축산성이다.[1]

내용

삼국시대 축조

강안(江岸)의 돌출된 산봉우리를 택하여 산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전개된 작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外城)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지정면적 361,171㎡, 둘레 약 1,000m이다.
정확한 축성연대와 목적은 알 수 없으나, 강안의 험한 절벽을 이용하고 동·북·서로 전개된 넓은 평야를 감싸안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초기의 산성형식과 부합된다. 현재 성벽은 산 정상부의 동남쪽 사면과 외성부의 동북쪽 성벽뿐이며, 서쪽 방면은 내성은 확인되나 외성 성벽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다.
계곡 쪽의 성벽은 유구를 찾을 수 없으나 산허리를 돌아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이른바 이중식산성은 삼국시대의 새로운 형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편, 회청색 경질토기편을 비롯하여 어골문(魚骨文)·수지문(手指文)의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 고려시대까지도 간헐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행주대첩

특히, 행주산성은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의 전적지로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으로 유명하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다.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을 벌여 권율을 모시는 충장사(忠壯祠)를 건립하고 정자와 문도 세웠다. 1963년 1월 사적 제 56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행주대첩 행주산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권율 행주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행주대첩비 행주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행주대첩비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고양 충장사 행주산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권율 고양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0083 126.824786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행주산성", 『doopedia』online.두산백과.
  2.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3.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4.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5.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6.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7.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8.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9.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차용걸, "행주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 "행주산성", 『doopedia』online.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