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보우(고려)|태고보우(太古普愚)]]-[[혼수|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보우(고려)|태고보우]]-[[혼수|환암혼수]]-구곡각운-[[정심|벽계정심(碧溪 淨心)]]-[[지엄|벽송지엄(碧松智嚴)]]-[[영관|부용영관(芙蓉靈觀)]]-[[휴정|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이색(李穡)]]은 각운을 [[연온|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고려)|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74 각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보우(고려)|태고보우(太古普愚)]]-[[혼수|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보우(고려)|태고보우]]-[[혼수|환암혼수]]-구곡각운-[[정심|벽계정심(碧溪 淨心)]]-[[지엄|벽송지엄(碧松智嚴)]]-[[영관|부용영관(芙蓉靈觀)]]-[[휴정|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이색(李穡)]]은 각운을 [[연온|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고려)|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74 각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묘각화상 수미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42번째 줄: | 50번째 줄: | ||
|} | |} | ||
− | =='''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2017년 11월 24일 (금) 15:34 판
각운(覺雲) | |
대표명칭 | 각운 |
---|---|
한자 | 覺雲 |
생몰년 | ?-? |
호 | 구곡(龜谷) |
성씨 | 유씨(柳氏) |
출신지 | 전라북도 남원 |
정의
고려 말기의 승려.
내용
구곡각운(龜谷覺雲)은 보우(普愚)의 법을 이은 혼수(混修)의 제자로, 숙부였던 졸암(拙庵)이 지은 남원 만행산 승련사(勝蓮寺)에 주석하였다. 공민왕이 그의 도행(道行)을 숭배하여 『달마절로도강도(達磨折蘆渡江圖)』와 『보현육아백상도(普賢六牙白象圖)』등을 그려 주고, 또 '구곡각운(龜谷覺雲)'이라는 4자 친필을 하사하는 한편,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숭신진승 근수지도 도대선사(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崇信眞乘勤修至道都大禪師)'라는 법호(法號)를 지어주었다. 1372년 공민왕에게 청하여 『전등록(景德傳燈錄)』을 중간하였다.[1]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태고보우(太古普愚)-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태고보우-환암혼수-구곡각운-벽계정심(碧溪 淨心)-벽송지엄(碧松智嚴)-부용영관(芙蓉靈觀)-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李穡)은 각운을 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2]
지식 관계망
- 묘각화상 수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연온 | 각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각운 | 정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각운 | 수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각운 | 이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