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번째 줄: | 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 ||
− | |||
=='''개요'''== | =='''개요'''== | ||
− |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 + |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ref>"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407&cid=46656&categoryId=4665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
− | |||
− | |||
− | |||
+ |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ref>"이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935&cid=40942&categoryId=3305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 ||
=='''갤러리'''== | =='''갤러리'''== | ||
15번째 줄: | 12번째 줄: | ||
파일:SteleforMasterBojo 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이수]] | 파일:SteleforMasterBojo 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이수]] | ||
파일:도선수미비05.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이수]] | 파일:도선수미비05.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이수]] | ||
+ | 파일:Tongil stele is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이수]] | ||
+ | 파일:Beopgyeong stele isu.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이수]] | ||
</gallery> | </gallery>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3월 9일 (목) 12:30 판
정의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개요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1]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2]
갤러리
- SteleforMasterBojo isu.jpg
- 도선수미비05.JPG
- Tongil stele isu.jpg
- Beopgyeong stele isu.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