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 문양 100원권 지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0번째 줄: 20번째 줄:
  
 
=='''내용'''==
 
=='''내용'''==
100원권 동전은 1962년 6월 단행된 [[제3차 통화조처]]에 따라 ‘원’화의 신권이 통용되면서<ref>장상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923 화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70년 11월에 백원 주화가 발행되었다. 1983년 1월 신화폐 체계정비에 의한 새 얼굴이 그려졌다.<ref>화폐박물관, "[http://museum.komsco.com/contents/exhibit/exhibit_011300.do 한국은행주화]", 전시실안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화폐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ref> 100원권 동전의 뒷면 그림은 [[이순신]] 초상이 그려져 있다.
+
100원권 지폐는 1953년 2월 17일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100원권으로 1953년 2월 원화에서 환화로 개되었다. 100대 1의 평하(平下)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2차 화폐개혁 이후 발행된 지폐이다.
 +
 
 +
지폐의 크기는 156 x 66mm 이며, 도안은 전면에 거북선, 후면에 한국은행 휘장을 소재로 하였으며, 2003년 현재는 통용되지 않고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0974&cid=51293&categoryId=51293 거북선 문양 100원권 지폐]",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1월 8일 (수) 21:05 판

거북선 문양 100원권 지폐()
대표명칭 거북선 문양 100원권 지폐
유형 화폐
시대 현대
관련인물 이순신
관련단체 한국은행,한국조폐공사
관련유물유적 거북선



정의

대한민국의 지폐.

내용

100원권 지폐는 1953년 2월 17일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100원권으로 1953년 2월 원화에서 환화로 개되었다. 100대 1의 평하(平下)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2차 화폐개혁 이후 발행된 지폐이다.

지폐의 크기는 156 x 66mm 이며, 도안은 전면에 거북선, 후면에 한국은행 휘장을 소재로 하였으며, 2003년 현재는 통용되지 않고 있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100원권 동전 이순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100원권 동전 한국조폐공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거북선 문양 100원권 지폐",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장상진, "화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화폐박물관, "한국은행주화", 전시실안내, 『화폐박물관』online.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