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 3번째 줄: | ||
|이미지= 이단하 원삼.JPG | |이미지= 이단하 원삼.JPG | ||
|대표명칭= 원삼(圓衫) | |대표명칭= 원삼(圓衫) | ||
− | |이칭별칭= 단삼(團衫), 대수(大袖), 대의(大衣), 장오자(長襖子) | + | |이칭별칭= [[단삼|단삼(團衫)]]<ref>조선 초기 명나라로부터 사여된 관복 중 왕비의 상복으로 15세기 중반(1450년)부터 17세기 초반(1617년)에 걸쳐 기록되어 있으며, 1617년을 마지막으로 단삼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연대 차이는 있지만 통수에 스란 장식을 한 15세기 단삼과 17세기 원삼이 조형성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32~34.).</ref>, [[대수|대수(大袖)]]<ref>이재의 『사례편람(四禮便覽)』. {{Blockquote|색이 있는 주(紬)를 마름질하여 만드니 제도는 시속의 당의(唐衣)와 같고 넓고 커서 길이는 무릎에까지 이른다. 단지 소매가 넓고 길어 2척 2촌【주척이다.】으로 몸에 두르니 일명 대수(大袖)라고 하며 혹은 원삼(圓衫)이라고도 일컫는다【즉, 『오례의(五禮儀)』에서는 본국의 장삼(長衫)이다.】.(李縡, 『四禮便覽』 卷8, 「祭禮」, “裁用色紬, 制如俗唐衣, 而寬大長至膝, 但袖大袖長二尺二寸【周尺】圜枝, 一名大袖, 或稱圓衫【卽五禮儀本國長衫.】”)}}</ref>, [[대의|대의(大衣)]]<ref>이재의 『사례편람』. {{Blockquote|원삼은 즉 대의(大衣)이다. 색이 있는 견(絹)이나 혹은 주(紬)를 써서 만드는데 아래 제례삭참조에 보인다.(李縡, 『四禮便覽』 卷3, 「喪禮, 襲」, “卽大衣, 用色絹或紬爲之, 制見下祭禮朔參條.”)}}</ref>, [[장오자|장오자(長襖子)]]<ref>유득공의 『상변통고(常變通攷)』. {{Blockquote| 『상례비요(喪禮備要)』에서 여자의 상에는 원삼이나 몽두의(蒙頭衣) 혹은 장오자(長襖子), 치마, 채색 신을 사용한다.(柳長源, 『常變通攷』 卷7, 「喪禮」, “ 『備要』女喪圓衫, 或蒙頭衣, 或長襖子, 裳, 彩鞋.”)}}</ref> |
|착용시대= 조선, 일제시대 | |착용시대= 조선, 일제시대 | ||
|착용신분= 왕실, 궁중, 서민 | |착용신분= 왕실, 궁중, 서민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예복]]의 하나. |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예복]]의 하나. | ||
− | |||
− | |||
− | |||
− | |||
− | |||
− | |||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
27번째 줄: | 21번째 줄: | ||
* 조선 말기에 원삼은 비(妃), 빈(嬪)과 내외명부(內外命婦) 및 황후까지 착용-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 * 조선 말기에 원삼은 비(妃), 빈(嬪)과 내외명부(內外命婦) 및 황후까지 착용-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 ||
− | == | + | ==기본 정보== |
− | === | + | ===유래=== |
− | + | 여성이 착용한 [[단령|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천. | |
− | |||
===기본 형태=== | ===기본 형태=== | ||
36번째 줄: | 29번째 줄: | ||
*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 | *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 | ||
*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음. | *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음. | ||
− | *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 | + | *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한삼(汗衫)]]을 연결. |
− | *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 | + | *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대(帶)]]를 둘러 착용. |
− | ===시대별 형태 | + | ===시대별 형태=== |
① 15~16세기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ref>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51~85.</ref> | ① 15~16세기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ref>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51~85.</ref> | ||
*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해 남성 단령은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은 유물 존재. | *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해 남성 단령은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은 유물 존재. | ||
− | * 소매모양이 직배래의 통수 형태로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 + | * 소매모양이 직배래의 통수 형태로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어 한삼을 달기 위한 의도로 보여 예복의 용도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남성 단령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 |
− | *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 | + | *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 [[흉배]]가 부착 |
− | * | + | * [[대대|대대(大帶)]]가 함께 출토, 도련에 선단이 둘러져 있음. |
− | <gallery>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 파일:순흥안씨 단령.jpg|순흥안씨 단령형 원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 + | 파일:순흥안씨 단령.jpg|순흥안씨 단령형 원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p. 74. |
− | 파일:장기정씨 단령.jpg|장기정씨 단령형 원삼.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 + | 파일:장기정씨 단령.jpg|장기정씨 단령형 원삼.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p. 81. |
− | 파일:무연고 단령.jpg|용인 영덕동 무연고 분묘 단령형 원삼.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 + | 파일:무연고 단령.jpg|용인 영덕동 무연고 분묘 단령형 원삼.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龍仁 靈德洞 遺蹟-용인흥덕 택지개발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보고서』 p. 427. |
</gallery> | </gallery> | ||
54번째 줄: | 47번째 줄: | ||
* 변화가 심한 시기로 특별히 17세기 전반기에는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이 전형적인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남. | * 변화가 심한 시기로 특별히 17세기 전반기에는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이 전형적인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남. | ||
* 도련의 모양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뀜. | * 도련의 모양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뀜. | ||
− | * | + | *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기며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 |
* 앞길에만 무가 있으며 뒷길은 무가 없이 안단을 둘러 원삼의 도련과 같은 형태로의 전환이 시작. | * 앞길에만 무가 있으며 뒷길은 무가 없이 안단을 둘러 원삼의 도련과 같은 형태로의 전환이 시작. | ||
− | * 홑옷 | + | * 홑옷. |
* 깃이 교임의 단령 깃에서 점점 둥근 깃의 대금형 깃으로의 변화가 시작. | * 깃이 교임의 단령 깃에서 점점 둥근 깃의 대금형 깃으로의 변화가 시작. | ||
− | * 원삼의 대와 유사한 | + | * 원삼의 대와 유사한 [[대]]가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가 감소. |
− | <gallery>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 파일:동래정씨 원삼.jpg|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묘 출토 원삼. 경기도박물관 소장, | + | 파일:동래정씨 원삼.jpg|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묘 출토 원삼. 경기도박물관 소장,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p. 336. |
</gallery> | </gallery> | ||
67번째 줄: | 60번째 줄: | ||
* 예외가 있지만 두리소매가 등장하며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린 형태로 변해가는 추세. | * 예외가 있지만 두리소매가 등장하며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린 형태로 변해가는 추세. | ||
* 도련선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 | * 도련선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 | ||
− | * 전단후장(前短後長)의 강화. | + | * 전단후장(前短後長,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의 강화. |
− | * | + | * 겹으로 만든 원삼이 등장. |
− | <gallery>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 파일:이단하 원삼.JPG|이단하 부인 원삼. 중요민속문화재 제4호, | + | 파일:이단하 원삼.JPG|이단하 부인 원삼. 중요민속문화재 제4호,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p. 125. |
− | 파일:이단하 원삼-뒤.JPG|이단하 부인 원삼. 중요민속문화재 제4호, | + | 파일:이단하 원삼-뒤.JPG|이단하 부인 원삼. 중요민속문화재 제4호,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p. 126. |
− | 파일:해평윤씨 원삼.JPG|이형보 배위 해평윤씨 원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 + | 파일:해평윤씨 원삼.JPG|이형보 배위 해평윤씨 원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해평윤씨 출토복식』 p. 34. |
</gallery> | </gallery> | ||
④ 19~20세기 원삼<ref>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121~160.</ref> | ④ 19~20세기 원삼<ref>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121~160.</ref> | ||
* 조선 후기로 가면서 원삼은 궁중 여성 및 사대부 부인의 예복이자 서민들의 혼례복으로 형태적인 이분화를 이루며 착용. | * 조선 후기로 가면서 원삼은 궁중 여성 및 사대부 부인의 예복이자 서민들의 혼례복으로 형태적인 이분화를 이루며 착용. | ||
− | * | + | * [[『가례도감의궤』]]에 의하면 왕비용 원삼은 없고 왕세자빈과 왕세손비의 녹색 원삼이 있으며, 실제로 왕자비나 공주‧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예복으로 입음. |
+ | *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를 황후로 격상시켜 부르며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함. | ||
* 민가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직금과 금박으로 장식한 궁중원삼과 달리 민가에서는 금장식이 배제되고 대신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아지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 | * 민가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직금과 금박으로 장식한 궁중원삼과 달리 민가에서는 금장식이 배제되고 대신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아지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 | ||
− | * 궁중원삼은 | + | * 궁중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 |
− | * 궁중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 + | * 궁중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
*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 | *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 | ||
− | * 겹원삼이 정착, | + | *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 |
*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음. | *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음. | ||
− | <gallery>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파일:동궁비 원삼.JPG|동궁비 홍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 파일:동궁비 원삼.JPG|동궁비 홍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 ||
파일:동궁비 원삼-뒤.JPG|동궁비 홍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 파일:동궁비 원삼-뒤.JPG|동궁비 홍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 ||
108번째 줄: | 10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눌재집|눌재집(訥齋集) | ||
+ | * 미암집|미암집(眉巖集) | ||
+ | * 사례편람|사례편람(四禮便覽) | ||
+ | * 상변통고|상변통고(常變通攷) | ||
+ | * 朴東媛(1976) 圓衫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 | * 송미경(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服飾, 52(8). | ||
+ | * 李眞英, 金仁淑(1992)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18 | ||
+ | * 이태옥, 김혜영, 조우현(2005)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7 No.2 | ||
+ |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 ||
+ | * 전정희, 박현정(1999)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제2권 | ||
+ | * 周錫保(1991)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戲劇出版社, 北京, 中國.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궁중기록화]]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여성]] [[분류:왕실]] [[분류:서민]] [[분류:예복]] |
2017년 3월 1일 (수) 21:29 판
원삼(圓衫)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원삼(圓衫) |
---|---|
이칭별칭 | 단삼(團衫)[1], 대수(大袖)[2], 대의(大衣)[3], 장오자(長襖子)[4] |
착용신분 | 왕실, 궁중, 서민 |
착용성별 | 여성 |
정의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예복의 하나.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왕실의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외명부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착용범위가 넓고 조선시대 말에는 혼례복으로도 많이 입혀짐.
- 조선 말기에 원삼은 비(妃), 빈(嬪)과 내외명부(內外命婦) 및 황후까지 착용-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기본 정보
유래
여성이 착용한 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천.
기본 형태
-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對衿形)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음.
-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
-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음.
-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
-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
시대별 형태
① 15~16세기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5]
- 품이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해 남성 단령은 품이 대부분 50~70cm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cm까지 품이 매우 넓은 유물 존재.
- 소매모양이 직배래의 통수 형태로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어 한삼을 달기 위한 의도로 보여 예복의 용도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남성 단령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
-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 흉배가 부착
- 대대(大帶)가 함께 출토, 도련에 선단이 둘러져 있음.
② 17세기 초중반의 원삼[6]
- 변화가 심한 시기로 특별히 17세기 전반기에는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이 전형적인 원삼으로 변하는 과정: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남.
- 도련의 모양이 직선에서 곡선으로 바뀜.
-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기며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
- 앞길에만 무가 있으며 뒷길은 무가 없이 안단을 둘러 원삼의 도련과 같은 형태로의 전환이 시작.
- 홑옷.
- 깃이 교임의 단령 깃에서 점점 둥근 깃의 대금형 깃으로의 변화가 시작.
- 원삼의 대와 유사한 대가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가 감소.
③ 17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원삼.[7]
- 깃 모양이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
- 예외가 있지만 두리소매가 등장하며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린 형태로 변해가는 추세.
- 도련선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
- 전단후장(前短後長,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의 강화.
- 겹으로 만든 원삼이 등장.
④ 19~20세기 원삼[8]
- 조선 후기로 가면서 원삼은 궁중 여성 및 사대부 부인의 예복이자 서민들의 혼례복으로 형태적인 이분화를 이루며 착용.
- 『가례도감의궤』에 의하면 왕비용 원삼은 없고 왕세자빈과 왕세손비의 녹색 원삼이 있으며, 실제로 왕자비나 공주‧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예복으로 입음.
-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를 황후로 격상시켜 부르며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함.
- 민가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직금과 금박으로 장식한 궁중원삼과 달리 민가에서는 금장식이 배제되고 대신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아지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
- 궁중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
- 궁중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
-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
-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음.
동궁비 홍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동궁비 홍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전 황후 황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9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90000,11).
전 황후 황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9호(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90000,11).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원삼 | 관계 | 관련노드명 |
원삼 | 관계 | 관련노드명 |
원삼 | 관계 | 관련노드명 |
원삼 | 관계 | 관련노드명 |
원삼 | 관계 | 관련노드명 |
참고문헌
- 눌재집|눌재집(訥齋集)
- 미암집|미암집(眉巖集)
- 사례편람|사례편람(四禮便覽)
- 상변통고|상변통고(常變通攷)
- 朴東媛(1976) 圓衫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송미경(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服飾, 52(8).
- 李眞英, 金仁淑(1992)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18
- 이태옥, 김혜영, 조우현(2005)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7 No.2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 전정희, 박현정(1999)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제2권
- 周錫保(1991)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戲劇出版社, 北京, 中國.
주석
- ↑ 조선 초기 명나라로부터 사여된 관복 중 왕비의 상복으로 15세기 중반(1450년)부터 17세기 초반(1617년)에 걸쳐 기록되어 있으며, 1617년을 마지막으로 단삼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연대 차이는 있지만 통수에 스란 장식을 한 15세기 단삼과 17세기 원삼이 조형성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32~34.).
- ↑ 이재의 『사례편람(四禮便覽)』.
- ↑ 이재의 『사례편람』.
원삼은 즉 대의(大衣)이다. 색이 있는 견(絹)이나 혹은 주(紬)를 써서 만드는데 아래 제례삭참조에 보인다.(李縡, 『四禮便覽』 卷3, 「喪禮, 襲」, “卽大衣, 用色絹或紬爲之, 制見下祭禮朔參條.”) 출처: - ↑ 유득공의 『상변통고(常變通攷)』.
『상례비요(喪禮備要)』에서 여자의 상에는 원삼이나 몽두의(蒙頭衣) 혹은 장오자(長襖子), 치마, 채색 신을 사용한다.(柳長源, 『常變通攷』 卷7, 「喪禮」, “ 『備要』女喪圓衫, 或蒙頭衣, 或長襖子, 裳, 彩鞋.”) 출처: -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51~85.
-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85~99.
-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99~120.
- ↑ 任賢珠(2011)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박사학위 논문, 경원대학교. pp. 12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