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폐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김미정님이 폐슬(蔽膝) 문서를 폐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jpg
+
|이미지= 8폐슬오례의서례.jpg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폐슬(蔽膝)
 
|이칭별칭=
 
|이칭별칭=
 
|착용시대=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착용시대=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착용성별= 남성, 여성
|착용연령= 아동, 성인
+
|착용연령= 성인, 아동
|복식구성= [[12장문(十二章紋)|장문(章紋)]]
+
|복식구성= [[12장문|장문(章紋)]]
|관련복식= [[면복(冕服)]], [[강사포(絳紗袍)|원유관복(遠遊冠服)]], [[강사포(絳紗袍)|통천관복(通天冠服)]] [[적의(翟衣)]], [[제복(祭服)]], [[조복(朝服)]]
+
|관련복식= [[면복|면복(冕服)]], [[강사포|원유관복(遠遊冠服)]], [[강사포|통천관복(通天冠服)]] [[적의|적의(翟衣)]], [[제복|제복(祭服)]], [[조복|조복(朝服)]]
 
|복식구분= 예복 장식
 
|복식구분= 예복 장식
 
|필드수= 10
 
|필드수= 10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왕과 관리의 [[제복(祭服)]], [[조복(朝服)]] 일습 중의 하나.<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8 한국복식사전:폐슬]</ref>
+
조선시대 왕과 관리의 [[제복|제복(祭服)]], [[조복|조복(朝服)]] 일습 중의 하나.<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8 한국복식사전:폐슬]</ref>
  
 
==기원==
 
==기원==

2017년 3월 2일 (목) 00:26 판


폐슬(蔽膝)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폐슬(蔽膝)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과 관리의 제복(祭服), 조복(朝服) 일습 중의 하나.[1]

기원

고대인들의 생식기 가리개가 폐슬로 정착됨.

어원[2]

'무릎을 가린다'라는 뜻으로, 허리 앞에 착용하고 무릎[膝]을 꿇으면 무릎이 가려지기[蔽] 때문에 폐슬이라고 함.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내용[3]

기본 형태

  • 위의 너비 1척, 아래의 너비 2척, 길이 3척으로,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
    • 1은 하늘, 2는 땅, 3은 삼재를 상징함.

신분별 형태

기타

폐슬이 점차 발전하여 앞과 뒤에 두르는 상(裳;下裳)이라는 형태의 옷이 생겨남.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폐슬 관계 관련노드명
폐슬 관계 관련노드명
폐슬 관계 관련노드명
폐슬 관계 관련노드명
폐슬 관계 관련노드명

참고문헌

주석

  1. 한국복식사전:폐슬
  2.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1.
  3.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