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2 삽금대 조선시대품대에관한연구79쪽.jpg | 조선시대 삽금대.<ref>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9쪽.<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2 삽금대 조선시대품대에관한연구79쪽.jpg | 조선시대 삽금대.<ref>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9쪽.<ref> |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3 삽은대 석주선박물관.jpg | 삽은대.<ref>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3 삽은대 석주선박물관.jpg | 삽은대.<ref>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ref>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4 흑각대 석주선박물관.jpg |조선시대 흑각대.<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43쪽.<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품대04 흑각대 석주선박물관.jpg |조선시대 흑각대.<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43쪽.<ref> | ||
61번째 줄: | 60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 + |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
2017년 11월 15일 (수) 23:51 판
품대 (品帶) |
|
대표명칭 | 품대 |
---|---|
한자표기 | 品帶 |
이칭별칭 | 각대(角帶) |
구분 | 대 |
착용신분 |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백관이 조복이나 제복, 상복을 입을 때 겉옷 위에 두르는 띠로, 옷매무새를 정리하면서 백관의 품계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다.[1]
내용
품대는 사용자의 품계에 따라 띠돈의 재료를 달리하여 사용하는데, 『경국대전』에 1품은 서대(犀帶), 정2품은 삽금대(鈒金帶), 종2품은 소금대(素金帶), 정3품은 삽은대(鈒銀帶), 종3품에서 종4품까지 소은대(素銀帶), 5품 이하는 흑각대(黑角帶)라고 규정되어 있다.[2] 조선 전기의 품대는 허리에 잘 맞도록 고안된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나 후기에는 착용자의 허리둘레보다 큰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착용하면 뒤로 늘어지게 되었다. 규정에는 없으나 흑단령을 착용한 초상화나 유물 중에 '학정대(鶴頂帶)'가 많은 편인데, 이는 소금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부마 등을 비롯하여 종2품이 사용하는 품대였다.[3] 조선시대에는 정(鞓)이라고 하는 띠바탕에 띠돈[帶錢]을 장식하여 만든 쌍타미형 품대가 사용되었다. 띠의 기본 골격을 이르는 띠 바탕은 부드러운 양피나 어피(魚皮) 또는 비단으로 감싸는데, 이것의 소재나 색상이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단서가 된다. 관리들은 흑색 띠바탕[黑鞓] 혹은 청색 띠바탕[靑鞓]을 사용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신분에 관계없이 자주색 띠바탕[紫鞓]을 사용하기도 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백관 | 품대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백관의 조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제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품대 | 조복 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품대 | 조복 하상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품대 | 제복 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품대 | 제복 하상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품대 | 단령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삽은대.[5]
영상
주석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6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2쪽.
-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30쪽.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6쪽.
- ↑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 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조광복, 「朝鮮時代의 帶에 對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