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동 별서정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125번째 줄: 125번째 줄:
 
| [[이덕휘]]||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덕휘]]||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덕휘]] ||  [[이시헌]] || A는 양자 B를 두었다 ||  A ekc:hasAdoptedHeir B
 +
|-
 
| [[이시헌]]||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시헌]]||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137번째 줄: 139번째 줄:
 
| [[정약용]]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약용]]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덕휘]] ||[[정약용]] || A는 B의 친척이다|| A ekc:isLineageKinOf B
 +
|-
 
| [[의순]]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의순]]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2017년 10월 23일 (월) 00:49 판

백운동 별서정원(白雲洞 別墅庭園)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7일 촬영)
대표명칭 백운동 별서정원
한자표기 白雲洞 別墅庭園
유형 정원
주소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관련인물 이담로, 이언길, 이덕휘, 이시헌, 이승현


정의

담양 소쇄원, 보길도 세연정과 더불어, 호남 3대 정원으로 꼽히는 정원.

내용

백운동주 계보

월출산 옥판봉 남쪽 자락에 위치한 백운동 별서정원은 입산조인 이담로(李聃老)가 중년에 조성하여 만년에 둘째 손자 이언길(李彦吉)을 데리고 들어와 살기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12대에 걸쳐 이어져온 유서 깊은 생활공간이다.[1]
역대 백운동주 가운데 뚜렷한 행적을 남긴 사람은 많지 않다. 입산조 이담로와 그의 손자 이언길은 백운동 별서정원을 처음 경영하였고 오늘의 모습으로 일군 주역이다. 조부의 유언에 따라 제2대 백운동 별서정원의 주인이 된 이언길은 84세의 장수를 누리면서 이 공간을 평생에 걸쳐 정성을 쏟아 가꾸었다.
이담로 시대에 별서였던 이곳은 이언길의 만년인 1756년 이후 온 가족이 이거하면서 생활 주거 공간으로 탈바꿈했다.[2]
현재 백운동 별서정원은 11대 동주인 이승현에 이르기까지 13대째 직계의 후손으로만 한 줄기로 대를 이어 지켜오고 있다.[3]

복원

백운동 별서정원은 남아 있던 유구와 옛 기록에 근거하여 2008년 강진군에서 복원을 시작하여 복원이 완료되었다. 현재는 한국전쟁 이후에 다시지어 살림집으로 쓰던 낡은 본채를 헐고 중건하는 일과 화단의 식재, 주변 공간의 정리 및 진입로 정비만 남겨둔 상태다.[4]
특히, 1812년 백운동 별서정원을 직접 방문했던 정약용이 저술한 『백운첩(白雲帖)』과 백운동 5대 주인 이시헌『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은 초기 백운동의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큰 밑바탕이 되었다.

백운동 12경

'백운동 12경'의 명명은 정약용이 저술한 백운첩에서 최초로 이루어졌는데, 오늘날 백운동 별서정원 복원의 기준점을 마련해 주었다.

초의선사가 그린 「백운동도」[5]

1경 옥판봉

월출산 구정봉의 서남쪽 봉우리의 이름으로, 정약용은 1804년 옥판봉을 등정한 후 1812년 9월 12일에 백운동 별서정원을 방문했다. 그때 백운동 별서정원 5대 동주였던 이시헌은 짚신을 신고, 깃 자루가 달린 삿갓을 매고 정약용을 모셨다고 한다.
정약용『백운첩(白雲帖)』에 '옥판상기(玉版爽氣)'(월출산 옥판봉의 상쾌한 기운)가 12경 중 으뜸이라 하였다.

2경 산다경

백운동 별서정원에 들어가는 동백나무 숲의 작은 길이다.

3경 백매오

백운동 3경인 '백매오(百梅塢)'는 바위언덕 위에 심어둔 백그루의 홍매로, 정약용백매오에 대해 '산 빛 어린 속에서 오가노라면 온통 모두 암향 속에 있는 것 같다'고 표현하였다.

4경 홍옥폭

단풍나무 빛이 비친 폭포의 홍옥같은 물방울이란 뜻으로, 백운동 별서정원 외부에 위치한 폭포이다. 정약용홍옥폭에 대하여 '천봉에 빅방울 쏟아지더니 냇물이 백 갈래로 갈리어 난다. 온통 단풍나무 속을 따라서 죽정 앞을 부딪히며 지나가누나.'라고 표현하였다.
현재는 물이 흐르지 않고 있다.

5경 유상곡수

백운동 별서정원 내부에 위치한 유상곡수는 잔을 띄워 보낼 수 있는 아홉 굽이의 작은 물길이라는 뜻으로, 백운동 별서정원 외부 계곡물이 담장 아래 뚫린 구멍으로 들어와 다시 담장 밖을 나가는 구조로 되어있다. 현재는 물이 흐르지 않고 있다.

6경 창하벽

백운동 별서정원 외부에 위치한 절벽으로, 정약용은 창하벽에 새긴 글씨가 없음이 아쉬워 붉은 먹으로 글씨를 써두었다고 밝혔다. 현재 붉은 글씨는 찾아볼 수 없다.

7경 정유강

용비늘 같은 소나무가 위치한 언덕으로, 백운동 11경인 정선대에도 정유강에 위치해 있다.

8경 모란체

백운동 별서정원 내부에 위치한 모란이 심어져 있는 돌계단의 화단으로, 백운동 9경 취미선방 앞에 위치해 있다.

9경 취미선방

사랑채로 쓰였던 세칸 초가이다.

10경 풍단

창하벽 위에 붉게 물든 단풍나무가 심어진 단으로, 백운동 별서정원 외부에 위치한다.

11경 정선대

청하벽 위에 위치한 정자로, 신선이 머물렀다는 백운동 1경 옥판봉이 한 눈에 보인다.

12경 운당원

백운동 별서정원 외부에 위치한 왕대나무 숲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담로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언길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덕휘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덕휘 이시헌 A는 양자 B를 두었다 A ekc:hasAdoptedHeir B
이시헌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승현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운첩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백운첩 백운동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백운동도 백운동 별서정원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정약용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덕휘 정약용 A는 B의 친척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의순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를 방문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설록다원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뉴스투데이]월출산 백운동의 재발견(게시일: 2015년 4월 9일)

주석

  1.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12쪽.
  2.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73쪽.
  3.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80쪽.
  4. 박성우,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문화재로 지정 추진", 『연합뉴스』, 작성일: 2016년 10월 31일.
  5. 한국레저경영연구소,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
  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1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2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3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4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2.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3.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5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