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영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3번째 줄: 103번째 줄: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328&cid=42665&categoryId=42666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328&cid=42665&categoryId=42666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2618&cid=51206&categoryId=51206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2618&cid=51206&categoryId=51206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

2017년 10월 22일 (일) 23:20 판

쌍영총
(雙楹塚)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대표명칭 쌍영총
한자표기 雙楹塚
이칭 쌍기둥무덤
유형 벽화고분
시대 고구려
소장처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
관련유물유적 쌍영총 고분벽화



정의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벽화고분.[1]

내용

쌍영총은 앞방의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 앞방, 앞방과 뒷방 사이의 통로, 뒷방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쌍영총이라는 이름은 1913년 일본인들이 조사하였을 때에 통로의 좌우에 세워진 두 개의 팔각기둥을 발견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방 내부에 그려진 벽화의 내용은 크게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을 그린 사신도(四神圖)와 다양한 계층의 인물 군상을 그린 풍속도로 나눌 수 있다. 천장의 굄돌에는 당초, 봉황, 구름 등의 무늬가 배치되어 있고 팔각기둥은 용이 휘감아 올라가는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전체적인 벽화의 내용 구성을 보면 사신도보다는 인물풍속도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쌍영총은 사신도가 주류 고분벽화로 정착해 가던 과도기의 무덤이며, 그 시기는 대체로 5세기 후반 경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쌍영총 고분벽화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쌍영총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쌍영총 고분벽화 쌍영총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쌍영총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삼실총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통구12호분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13년 일본인들이 쌍영총을 발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8.863702 125.418705 쌍영총은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에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집부, 『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온라인 참조: "쌍영총", 고고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