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영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03번째 줄: | 103번째 줄: | ||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328&cid=42665&categoryId=42666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328&cid=42665&categoryId=42666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2618&cid=51206&categoryId=51206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2618&cid=51206&categoryId=51206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김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3 쌍영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요청]] |
2017년 10월 22일 (일) 23:20 판
쌍영총 (雙楹塚) |
|
대표명칭 | 쌍영총 |
---|---|
한자표기 | 雙楹塚 |
이칭 | 쌍기둥무덤 |
유형 | 벽화고분 |
시대 | 고구려 |
소장처 |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 |
관련유물유적 | 쌍영총 고분벽화 |
|
목차
정의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벽화고분.[1]
내용
쌍영총은 앞방의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 앞방, 앞방과 뒷방 사이의 통로, 뒷방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쌍영총이라는 이름은 1913년 일본인들이 조사하였을 때에 통로의 좌우에 세워진 두 개의 팔각기둥을 발견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방 내부에 그려진 벽화의 내용은 크게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을 그린 사신도(四神圖)와 다양한 계층의 인물 군상을 그린 풍속도로 나눌 수 있다. 천장의 굄돌에는 당초, 봉황, 구름 등의 무늬가 배치되어 있고 팔각기둥은 용이 휘감아 올라가는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전체적인 벽화의 내용 구성을 보면 사신도보다는 인물풍속도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쌍영총은 사신도가 주류 고분벽화로 정착해 가던 과도기의 무덤이며, 그 시기는 대체로 5세기 후반 경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쌍영총 고분벽화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쌍영총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쌍영총 고분벽화 | 쌍영총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쌍영총 | 고구려 고분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삼실총 | 고구려 고분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통구12호분 | 고구려 고분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13년 | 일본인들이 쌍영총을 발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8.863702 | 125.418705 | 쌍영총은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에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고대건축
-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4.삼국의 고분(게시일: 2016년 5월 9일)
주석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