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김씨 학봉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6번째 줄: 36번째 줄:
 
학봉종택은 그의 손자인 [[김시추 |김시추(金是樞, 1580-1640)]] 대에 처음으로 건립되었음을 『[[금계지 |금계지(金溪志)]]』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김시추 |경력공(김시추)]]이 당시 [[감여승]]이었던 [[성지 |성지(性智)]]로 하여금 길지를 정하도록 하였으며, 종택의 터를 행정(杏亭) 위에 잡고, 간좌곤향(艮坐坤向)으로 건물을 앉힌 후 '풍뢰헌(風雷軒)'과 '영모재(永慕齋)'라는 당호를 달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처음 종택의 터를 잡았던 곳이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곳이라고 전해질 뿐 당시 종택의 구체적인 모습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보이지는 않는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쪽.</ref>  
 
학봉종택은 그의 손자인 [[김시추 |김시추(金是樞, 1580-1640)]] 대에 처음으로 건립되었음을 『[[금계지 |금계지(金溪志)]]』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김시추 |경력공(김시추)]]이 당시 [[감여승]]이었던 [[성지 |성지(性智)]]로 하여금 길지를 정하도록 하였으며, 종택의 터를 행정(杏亭) 위에 잡고, 간좌곤향(艮坐坤向)으로 건물을 앉힌 후 '풍뢰헌(風雷軒)'과 '영모재(永慕齋)'라는 당호를 달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처음 종택의 터를 잡았던 곳이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곳이라고 전해질 뿐 당시 종택의 구체적인 모습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보이지는 않는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쪽.</ref>  
  
===종택의 첫 이건===
+
===두 번의 종택 이건===
학봉종택은 학봉의 손자 [[김시추]]가 창건한 이후 두 번 이건하였는데, 그 중 첫 이건에 대한 기록이 『[[금계지]]』에 보인다. 여기에서 9대손인 현감공 [[김종수 |김종수(金宗壽, 1761-1813)]]가 소복산 아래로 종택의 터를 옮기고 건물을 해좌사향(亥坐巳向)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소복산 아래의 종택 터는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으로 당시의 사랑채(현 [[소계서당]])와 사당터 등이 남아있다. 이 기록으로는 정확한 이건 시기를 알 수 없는데, 10대손 [[김진화 |김진화(金鎭華, 1793-1850)]]가 이건한 종택에서 태어났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이건 시기는 [[김종수]]가 태어난 1761년에서 [[김진화]]가 태어난 1793년 사이로 볼 수 있다. 이후 [[김진화]]가 말년에 원주에서 돌아와 종택을 더 넓히고, 풍뢰헌을 집 동쪽으로 이건하였다고 했는데, 당시 풍뢰헌을 어느 곳으로 옮겼는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김진화]]의 이력으로 보아 증축과 이건 시기는 1842년~1846년 사이로 판단된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11쪽.</ref>
+
학봉종택은 학봉의 손자 [[김시추]]가 창건한 이후 두 번 이건하였는데, 그 중 첫 이건에 대한 기록이 『[[금계지]]』에 보인다. 여기에서 9대손인 현감공 [[김종수 |김종수(金宗壽, 1761-1813)]]가 소복산 아래로 종택의 터를 옮기고 건물을 해좌사향(亥坐巳向)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소복산 아래의 종택 터는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으로 당시의 사랑채(현 [[소계서당]])와 사당터 등이 남아있다. 이 기록으로는 정확한 이건 시기를 알 수 없는데, 10대손 [[김진화 |김진화(金鎭華, 1793-1850)]]가 이건한 종택에서 태어났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이건 시기는 [[김종수]]가 태어난 1761년에서 [[김진화]]가 태어난 1793년 사이로 볼 수 있다. 이후 [[김진화]]가 말년에 원주에서 돌아와 종택을 더 넓히고, 풍뢰헌을 집 동쪽으로 이건하였다고 했는데, 당시 풍뢰헌을 어느 곳으로 옮겼는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김진화]]의 이력으로 보아 증축과 이건 시기는 1842년~1846년 사이로 판단된다. 종택을 이건하고 비어있던 현 종택의 위치에 11대손 [[김흥락]]을 기리기 위한 소계서당을 1934년에 건립하였으며, 1964년에는 원래 종택이 있었던 현 위치로 종택을 재이건하였다. 이때 현 학봉종택의 안채 위치에 있던 소계서당을 새 종택의 사랑채 부재로 다시 사용하고, 당시 사랑채 건물은 이건하지 않고 [[소계서당]]으로 삼았다. 그리고 1964년의 재이건 당시 건물의 배치는 현재와는 달리 사당과 ㅁ자형 본채, 부엌 옆 一자형 부속채만 있었다고 한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12쪽.</ref>  
 
 
===종택의 재이건===
 
종택을 이건하고 비어있던 현 종택의 위치에 11대손 [[김흥락]]을 기리기 위한 소계서당을 1934년에 건립하였으며, 1964년에는 원래 종택이 있었던 현 위치로 종택을 재이건하였다. 이때 현 학봉종택의 안채 위치에 있던 소계서당을 새 종택의 사랑채 부재로 다시 사용하고, 당시 사랑채 건물은 이건하지 않고 [[소계서당]]으로 삼았다. 그리고 1964년의 재이건 당시 건물의 배치는 현재와는 달리 사당과 ㅁ자형 본채, 부엌 옆 一자형 부속채만 있었다고 한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1-12쪽.</ref>  
 
  
 
===종택 이건의 동기===
 
===종택 이건의 동기===
 
약 400여 년 동안 두 차례의 이건과 재이건이 이루어졌는데, 이건의 동기가 무엇이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문중에서는 18세기 말의 이건이 잦은 하천의 범람 때문이었다고 하지만 문헌으로 전하는 바는 없다. 그렇지만 이건과 재이건의 전 시기에 대가 끊기는 공통점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집안의 길흉을 집터의 [[풍수]]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당시의 생활풍속이 작용했을 개연성이 있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2쪽.</ref>
 
약 400여 년 동안 두 차례의 이건과 재이건이 이루어졌는데, 이건의 동기가 무엇이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문중에서는 18세기 말의 이건이 잦은 하천의 범람 때문이었다고 하지만 문헌으로 전하는 바는 없다. 그렇지만 이건과 재이건의 전 시기에 대가 끊기는 공통점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집안의 길흉을 집터의 [[풍수]]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당시의 생활풍속이 작용했을 개연성이 있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2쪽.</ref>
 
<!-- 운장각+유물, 풍뢰헌 등에 대한 설명 추가예정!! -->
 
<!-- 운장각+유물, 풍뢰헌 등에 대한 설명 추가예정!!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html>
 
<html>

2017년 10월 17일 (화) 16:30 판

의성김씨 학봉종택
(義城金氏 鶴峯宗宅)
기록유산스토리자원 개발팀 자체 촬영(서동신)
대표명칭 의성김씨 학봉종택
한자표기 義城金氏 鶴峯宗宅
영문명칭 Hakbong Head Residence of Gim Clan of Uiseong
유형 주택(한옥)
시대 17세기 초엽
지정번호 경상북도 시도기념물 제112호
지정일 1995년 12월 01일
관련유물유적 - 고문서 56종 261점(보물 제905호)
- 제초고 및 선조 전래의 전적문서(보물 제906호)


정의

퇴계 이황의 제자로서 조선 중기의 문신이었던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종택(宗宅)이다. 김성일을 중시조로 하는 의성김씨 문충공파의 종손이 현재 거주하고 있다.

내용

학봉종택의 자료적 가치와 의의

학봉종택은 400년이 넘는 종택의 역사에 걸맞게 학계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금계마을의성김씨 입향조(入鄕祖)[1]인 학봉을 비롯하여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과 같은 출중한 인물들이 배출되었고, 이들이 저술한 각종 사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제사나 민속 같은 전통생활양식까지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2]

학봉의 금계마을 입향 배경

금계마을은 『영가지(永嘉誌)』에서 옛적부터 '천년이 지나도록 패하지 않는 땅'이라고 할 만큼 길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금계마을에 입향한 문중은 흥해배씨, 경주이씨, 안동권씨, 원주변씨, 안동장씨, 의성김씨 등으로, 주로 고려 말부터 조선 중기에 입향하였다. 이 시기의 결혼습속에 의하면 결혼 후 남자의 거처는 처가에 귀속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학봉은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의 넷째 아들로 처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처가가 있는 금계마을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학봉이 입향한 16세기 말 이후로는 적장자(嫡長子) 중심의 상속제가 일반화되면서 의성김씨는 조선 중기 이후 금계마을의 중심 문중으로 자리를 잡았다. 현재 금계마을에 남아있는 종택들은 주로 금계의 본류 주위에 터전을 잡았는데, 그 중에서도 의성김씨는 상류의 안동장씨와 하류의 원주변씨 사이에 주로 위치하며, 학봉종택이 공간적으로 마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

학봉의 금계 이거 정황

학봉집』 연보에 의하면, 김성일은 1582년 부친의 3년상을 치르고 둘째형인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과 함께 백운정(白雲亭)에 머물다 안동의 서쪽 금계로 이거(移居)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이거는 공의 나이 45세 때 일로서 처부모 공양을 위한 것이었으며, 이때 비로소 김성일이 처가에 들어가게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거 이후 곧 의정부 사예로 환조하고 이듬해에는 나주목사로 제수를 받아 지방에 머물렀기 때문에 실제 금계에서 생활한 기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다만 1586년 12월 나주목사에서 해임된 후 1588년 7월 조정으로 돌아갈 때까지 약 1년 반 동안 금계에 머물며 여러 일에 관여하고 유람도 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을 맞이하였고, 결국 금계로 돌아오지 못하고 전쟁 중이던 1593년 진주 공관에서 병사하였다. 이처럼 김성일 대에는 종택을 건립할 만한 여건이 되지 않았으며, 아들 김집(金潗, 1558-1631) 대에도 이러한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4]

학봉종택의 건립 정황

학봉종택은 그의 손자인 김시추(金是樞, 1580-1640) 대에 처음으로 건립되었음을 『금계지(金溪志)』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경력공(김시추)이 당시 감여승이었던 성지(性智)로 하여금 길지를 정하도록 하였으며, 종택의 터를 행정(杏亭) 위에 잡고, 간좌곤향(艮坐坤向)으로 건물을 앉힌 후 '풍뢰헌(風雷軒)'과 '영모재(永慕齋)'라는 당호를 달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처음 종택의 터를 잡았던 곳이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곳이라고 전해질 뿐 당시 종택의 구체적인 모습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보이지는 않는다.[5]

두 번의 종택 이건

학봉종택은 학봉의 손자 김시추가 창건한 이후 두 번 이건하였는데, 그 중 첫 이건에 대한 기록이 『금계지』에 보인다. 여기에서 9대손인 현감공 김종수(金宗壽, 1761-1813)가 소복산 아래로 종택의 터를 옮기고 건물을 해좌사향(亥坐巳向)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소복산 아래의 종택 터는 현재 학봉종택이 있는 위치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으로 당시의 사랑채(현 소계서당)와 사당터 등이 남아있다. 이 기록으로는 정확한 이건 시기를 알 수 없는데, 10대손 김진화(金鎭華, 1793-1850)가 이건한 종택에서 태어났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이건 시기는 김종수가 태어난 1761년에서 김진화가 태어난 1793년 사이로 볼 수 있다. 이후 김진화가 말년에 원주에서 돌아와 종택을 더 넓히고, 풍뢰헌을 집 동쪽으로 이건하였다고 했는데, 당시 풍뢰헌을 어느 곳으로 옮겼는지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김진화의 이력으로 보아 증축과 이건 시기는 1842년~1846년 사이로 판단된다. 종택을 이건하고 비어있던 현 종택의 위치에 11대손 김흥락을 기리기 위한 소계서당을 1934년에 건립하였으며, 1964년에는 원래 종택이 있었던 현 위치로 종택을 재이건하였다. 이때 현 학봉종택의 안채 위치에 있던 소계서당을 새 종택의 사랑채 부재로 다시 사용하고, 당시 사랑채 건물은 이건하지 않고 소계서당으로 삼았다. 그리고 1964년의 재이건 당시 건물의 배치는 현재와는 달리 사당과 ㅁ자형 본채, 부엌 옆 一자형 부속채만 있었다고 한다.[6]

종택 이건의 동기

약 400여 년 동안 두 차례의 이건과 재이건이 이루어졌는데, 이건의 동기가 무엇이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문중에서는 18세기 말의 이건이 잦은 하천의 범람 때문이었다고 하지만 문헌으로 전하는 바는 없다. 그렇지만 이건과 재이건의 전 시기에 대가 끊기는 공통점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집안의 길흉을 집터의 풍수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당시의 생활풍속이 작용했을 개연성이 있다.[7]

지식 관계망

관계 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성김씨 학봉종택 김성일 A는 B에서 이름을 땄다
김성일 이황 A는 B의 제자이다
의성김씨 학봉종택 금계마을 A는 B에 위치한다
김흥락 김성일 A는 B의 후손이다
금계마을 영가지 A는 B에 언급된다
김성일 금계마을 A는 B에 입향하였다 1582년
김진 김성일 A는 B의 어버이다
김집 김성일 A는 B의 자식이다
김시추 김집 A는 B의 자식이다
김시추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를 건립하였다 17세기 초엽
금계지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를 언급하였다
김종수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를 이건하였다 1761년-1793년 사이
김진화 김종수 A는 B의 자식이다
김진화 풍뢰헌 A는 B를 이건하였다 1842년-1846년 사이
김시인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를 이건하였다 1964년
학봉 행장 언해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여자초학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김주국의 편지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김광찬과 김주국의 편지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시간 정보

시간정보 내용
1582년 김성일금계마을에 입향하였다.
17세기 초엽 김시추의성김씨 학봉종택을 건립하였다.
1761년-1793년 사이 김종수의성김씨 학봉종택을 이건하였다.
1842년-1846년 사이 김진화가 '풍뢰헌'을 이건하였다.
1964년 김시인의성김씨 학봉종택을 이건하였다.

공간 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09771 128.669643 의성김씨 학봉종택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금계마을)에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의성김씨 학봉 종택(게시일: 2012.10.10.)

  • YTN 뉴스 : 전통예법으로 뿌리 지키는 종갓집(게시일: 2015.02.19.)

주석

  1. 입향조(入鄕祖):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김택규, "입향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입향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7쪽.
  3.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8-9쪽.
  4.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9-10쪽.
  5.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쪽.
  6.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0-12쪽.
  7.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12쪽.

참고 문헌

인용 및 참조

  •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더 읽을 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