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제의 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대한제국의 [[황제]]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내용'''==
 
=='''내용'''==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군복은 서양식 복식으로 바뀌고 [[황제]]는 '대원수복(大元帥服)'을 착용하였다. 1904년 원수부 관제가 폐지되고 대원수라는 직급이 사라지면서 육군복장규칙에 맞춰 육군대장 복장을 착용하였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74~275쪽.</ref>
+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군복은 서양식 복식으로 바뀌고 [[황제]]는 '대원수복(大元帥服)'을 착용하였다. 1904년 원수부 관제가 폐지되고 대원수라는 직급이 사라지면서 육군복장규칙에 맞춰 육군대장 복장으로 바뀌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74~275쪽.</ref>
  
 
==복식구성==
 
==복식구성==

2017년 10월 28일 (토) 00:12 판


황제의 군복
(皇帝의 軍服)
대표명칭 황제의 군복
한자표기 皇帝의 軍服
이칭별칭 대원수복(大元帥服)
분류 군복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한제국의 황제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군복은 서양식 복식으로 바뀌고 황제는 '대원수복(大元帥服)'을 착용하였다. 1904년 원수부 관제가 폐지되고 대원수라는 직급이 사라지면서 육군복장규칙에 맞춰 육군대장 복장으로 바뀌었다.[2]

복식구성

투구 형태의 모자(군복), 상의(군복), 바지(군복), 견장(군복), 견식줄(군복), 허리띠(군복), 신(군복), 장갑(군복), 칼(군복) 등.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황제의 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군복 모자(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상의(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바지(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견장(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견식줄(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허리띠(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신(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장갑(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칼(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74~27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