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로부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百乘 積粟萬鍾 累茵而坐 列鼎而食 乃歎曰 雖欲食藜藿之食 爲親負米 不可得也 孔子聞之曰 由也
 
百乘 積粟萬鍾 累茵而坐 列鼎而食 乃歎曰 雖欲食藜藿之食 爲親負米 不可得也 孔子聞之曰 由也
 
可謂生事盡力 死事盡思者也</span>
 
可謂生事盡力 死事盡思者也</span>
|원문2=<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즁유의 자 뢰니 공 뎨라 어버이 셤기믈 지효로   
+
|원문2=즁유의 자 뢰니 공 뎨라 어버이 셤기믈 지효로   
 
|원문3=집이 가난야 나믈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여 니 밧긔 을 져오더니  
 
|원문3=집이 가난야 나믈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여 니 밧긔 을 져오더니  
어벼이 죽은 후의 남으로 초나라 놀 조 술위 일이고 만죵 곡식을 흐며  
+
|원문4=어벼이 죽은 후의 남으로 초나라 놀 조 술위 일이고 만죵 곡식을 흐며  
자리 겹으로 안즈며 솟츨 버러 먹을  이에 탄식여 오  
+
|원문5=자리 겹으로 안즈며 솟츨 버러 먹을  이에 탄식여 오  
비록 믈을 먹으며 어버이 위여 을 지랴나 가히 엇디 못리로다   
+
|원문6=비록 믈을 먹으며 어버이 위여 을 지랴나 가히 엇디 못리로다   
공 드시고 오사 로 가히 닐오 살아셔 셤기 힘을 다고 죽은 후 셤기 모믈 다다 니라리로다</span>
+
|원문7=공 드시고 오사 로 가히 닐오 살아셔 셤기 힘을 다고 죽은 후 셤기 모믈 다다 니라리로다
 
|해석문1=
 
|해석문1=
 
|해석문2=중유의 자는 자로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어버이 섬김을 지극히 효성으로 하였는데,  
 
|해석문2=중유의 자는 자로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어버이 섬김을 지극히 효성으로 하였는데,  
 
|해석문3=집이 가난하여 나물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져오더니,  
 
|해석문3=집이 가난하여 나물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져오더니,  
어버이 죽은 후에 남으로 초나라에 노닐 때에 좆는 수레가 일백이고 만종 곡식을 쌓으며,  
+
|해석문4=어버이 죽은 후에 남으로 초나라에 노닐 때에 좆는 수레가 일백이고 만종 곡식을 쌓으며,  
자리를 겹으로 앉으며 솥을 벌여 먹을 때 이에 탄식하여 말하기를  
+
|해석문5=자리를 겹으로 앉으며 솥을 벌여 먹을 때 이에 탄식하여 말하기를  
“비록 나물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쌀을 지려하나 그렇게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데,  
+
|해석문6=“비록 나물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쌀을 지려하나 그렇게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데,  
공자가 들으시고 말하시기를 “자로는 ‘살아서 섬김에 힘을 다하고 죽은 후 섬김에 사모함을 다한다.’라고 이를 이이로다.” 하셨다.
+
|해석문7=공자가 들으시고 말하시기를 “자로는 ‘살아서 섬김에 힘을 다하고 죽은 후 섬김에 사모함을 다한다.’라고 이를 이이로다.” 하셨다.
 
}}
 
}}
  
30번째 줄: 30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references/></span>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2017년 10월 9일 (월) 17:46 판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자로부미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행실도십곡병풍 02 자로부미.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子路負米 列國 魯

仲由字子路 孔子弟子 事親至孝 家貧 食藜藿6)之食 爲親負米於百里之外 親歿之後 南遊於楚 從車 百乘 積粟萬鍾 累茵而坐 列鼎而食 乃歎曰 雖欲食藜藿之食 爲親負米 不可得也 孔子聞之曰 由也

可謂生事盡力 死事盡思者也
즁유의 자 뢰니 공 뎨라 어버이 셤기믈 지효로  중유의 자는 자로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어버이 섬김을 지극히 효성으로 하였는데,
집이 가난야 나믈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여 니 밧긔 을 져오더니 집이 가난하여 나물음식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져오더니,
어벼이 죽은 후의 남으로 초나라 놀 조 술위 일이고 만죵 곡식을 흐며 어버이 죽은 후에 남으로 초나라에 노닐 때에 좆는 수레가 일백이고 만종 곡식을 쌓으며,
자리 겹으로 안즈며 솟츨 버러 먹을  이에 탄식여 오 자리를 겹으로 앉으며 솥을 벌여 먹을 때 이에 탄식하여 말하기를
비록 믈을 먹으며 어버이 위여 을 지랴나 가히 엇디 못리로다  “비록 나물을 먹으며 어버이를 위하여 쌀을 지려하나 그렇게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데,
공 드시고 오사 로 가히 닐오 살아셔 셤기 힘을 다고 죽은 후 셤기 모믈 다다 니라리로다 공자가 들으시고 말하시기를 “자로는 ‘살아서 섬김에 힘을 다하고 죽은 후 섬김에 사모함을 다한다.’라고 이를 이이로다.” 하셨다.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