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정의'''==
 
=='''정의'''==
당(唐)승려.
+
당(唐)나라의 승려.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당(唐)나라 때의 [[조동종|조동종(曹洞宗)]] 승려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73141&cid=51397&categoryId=51397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당(唐)나라 때의 [[조동종|조동종(曹洞宗)]] 승려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73141&cid=51397&categoryId=51397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어려서 출가하여 25세에 하북성 범양(范陽) 연수사(延壽寺)에서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양개|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에게 사사(師事)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353&cid=50763&categoryId=50784 도응]",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어려서 출가하여 25세에 하북성 범양(范陽) 연수사(延壽寺)에서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양개|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에게 사사(師事)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353&cid=50763&categoryId=50784 도응]",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운거는 그가 주석한 산의 이름인데, 험준하여 산꼭대기에는 한상 구름이 떠 있었기 때문에 운거산(雲居山)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도응은 운거산에서 교화를 펴서 항상 1,000명 이상의 제자들을 거느렸다.<ref>정영식, 『조당집 읽기』, 도서출판 운주사, 2016, 146쪽.</ref>
+
운거는 그가 주석한 이름인데, 험준하여 산꼭대기에는 항상 구름이 떠 있었기 때문에 운거산(雲居山)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도응은 운거산에서 교화를 펴서 항상 천 명 이상의 제자를 거느렸다.<ref>정영식, 『조당집 읽기』, 도서출판 운주사, 2016, 146쪽.</ref>
  
 
===사무외대사===
 
===사무외대사===
운거 문하에서 수학한 신라 말 고려 초의 선승(禪僧) 중 특히 뛰어난 인물들로는 [[형미|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 [[여엄|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862-930)]], [[이엄|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870-936)]], [[경유|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871-921)]]등이 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ref> 이들은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이라는 뜻으로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으며,<ref>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watch?v=EUd6X2R6xpw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004]"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ref> 모두 [[고려 태조|태조 왕건]]과 개인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고려 초기의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ref>
+
운거 문하에서 수학한 신라 말 고려 초의 선승(禪僧) 중 특히 뛰어난 인물로는, [[형미|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 [[여엄|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862-930)]], [[이엄|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870-936)]], [[경유|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871-921)]]등이 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ref> 이들은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이라는 뜻으로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으며,<ref>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watch?v=EUd6X2R6xpw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004]"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ref> 모두 [[고려 태조|태조 왕건]]과 개인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고려 초기의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81번째 줄: 81번째 줄: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려]]
 
[[분류:승려]]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4일 (토) 17:50 판

도응(道膺)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대표명칭 도응
영문명칭 Daoying
한자 道膺
생몰년 853년-902년
성씨 왕씨(王氏)
출신지 유주(幽州: 지금의 하북성)



정의

당(唐)나라의 승려.

내용

개요

당(唐)나라 때의 조동종(曹洞宗) 승려다.[1]

어려서 출가하여 25세에 하북성 범양(范陽) 연수사(延壽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에게 사사(師事)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2]

운거는 그가 주석한 산 이름인데, 험준하여 산꼭대기에는 항상 구름이 떠 있었기 때문에 운거산(雲居山)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도응은 운거산에서 교화를 펴서 항상 천 명 이상의 제자를 거느렸다.[3]

사무외대사

운거 문하에서 수학한 신라 말 고려 초의 선승(禪僧) 중 특히 뛰어난 인물로는,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862-930),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870-936), 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871-921)등이 있다.[4] 이들은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이라는 뜻으로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라고 불렸으며,[5] 모두 태조 왕건과 개인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고려 초기의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다.[6]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개 도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형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여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이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경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사무외대사 형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여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이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경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도응",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영식, 『조당집 읽기』, 도서출판 운주사, 2016, 146쪽.
  4.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
  5. EBSCulture (EBS 교양),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004"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
  6.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119쪽.

참고문헌

  • "도응",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도응",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영식, 『조당집 읽기』, 도서출판 운주사, 2016, 146-1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