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간정보)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 |- | ||
|{{PAGENAME}}||제작연도|| 1978년 | |{{PAGENAME}}||제작연도|| 1978년 | ||
+ | |- | ||
+ | |{{PAGENAME}}||[[한국학중앙연구원]] 대여기간 || 1991.11.30~1992.11.29 | ||
|} | |} | ||
2017년 2월 22일 (수) 14:45 판
울주 반구대 암각도 | |
작가 | 김창락 |
---|---|
제작연도 | 1978년 |
규격 | 300호(290.9x197cm) |
유형 | 예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개요
내용
태화강 상류 서쪽 절벽의 석벽 하부 면에 새겨진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당시 인간들의 정면관(正面觀), 나신입상(裸身立像), 그리고 그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포경 장면, 수렵, 어류각종, 거북이, 호랑이, 사슴 등 다양한 대상을 묘사하였다. 이 유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70년 12월 겨울 가뭄으로 수면위에 들어난 것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확인조사한 뒤 부터이다. 이 암각화의 기법은 측면관을 주로 하여 형상을 쪼아 낸 것, 윤관선만을 음각한 것 등이 있는데 투시법(X-Ray법)에 의한 것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북구에서 시베리아 아무르강 유역의 연해주에 걸치는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예술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에 의해 그려지다 | 김창락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에 소장되어 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를 소재로 삼다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를 배경으로 하다 | 대곡천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제작연도 | 1978년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여기간 | 1991.11.30~1992.11.29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37.393554 | 127.053661 |
참고문헌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목제 곱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서비스(2017년 2월 14일 확인)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