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형성과 전개)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고승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승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무염은 821년([[신라 헌덕왕|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도일|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귀국하였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신라)|김흔]]의 후원으로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건립하고<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47&cid=42957&categoryId=42957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구산선문|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61 무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ref> | + | 무염은 821년([[신라 헌덕왕|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도일|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귀국하였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신라)|김흔(金昕)]]의 후원으로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건립하고<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47&cid=42957&categoryId=42957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구산선문|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61 무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ref> |
− | |||
− | |||
− | |||
===성주산문의 승려들=== | ===성주산문의 승려들=== | ||
+ |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으며,<ref>"[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C%A3%BC%EC%82%AC%EC%A7%80 성주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00여 명이라는 당대 최대의 제자를 배출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2741&cid=40942&categoryId=37404 성주산문]",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여엄|여엄(麗嚴)]]·[[대통|대통(大通)]]·[[심광|심광(深光)]]·[[자인|자인(慈忍)]]·[[영원|영원(靈源)]] 등은 모두 [[무염]]의 제자들이다.<ref>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심광]]은 진성여왕 때 [[함양 영각사|덕유산 영각사(靈覺寺)]]에 있으면서 성주산파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그의 문하에서 [[현휘|현휘(玄暉)]]가 배출되었다. [[현휘]]는 [[고려 태조]]에 의해 [[국사|국사(國師)]]가 되었으며, [[충주 정토사|충주 개천산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펼쳐 [[활행|활행(闊行)]] 등 몇백명의 제자를 배출시켰다. 무염의 뛰어난 제자인 [[대통]]은 845년([[신라 | ||
+ | 문성왕]] 문성왕 7) [[제천 월광사|제천 월광사(月光寺)]]에서 선법을 폈으며, [[여엄]] 또한 [[양평 보리사|양평 보리사(菩提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하였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고려 태조와 성주산문=== | ||
+ | 성주산문의 법을 이은 승려들은 [[고려 태조|왕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는데 [[여엄]]이 '[[사무외대사|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중 한 명으로 [[고려 태조|왕건]]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현휘]] 또한 [[고려 태조|왕건]]에게 통일사상을 고취시켜 줌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쪽.</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47번째 줄: | 49번째 줄: | ||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 |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90쪽.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2017년 10월 7일 (토) 15:03 판
성주산문 (聖住山門) |
|
대표명칭 | 성주산문 |
---|---|
한자표기 | 聖住山門 |
이칭 | 성주산파(聖住山派) |
관련개념 | 구산선문(九山禪門) |
정의
충청남도 보령의 성주사(聖住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고승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1]
무염은 821년(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문성왕 7) 귀국하였다.[2]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金昕)의 후원으로 성주사를 건립하고[3] 성주사를 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4]
성주산문의 승려들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으며,[5] 2,000여 명이라는 당대 최대의 제자를 배출하였다.[6] 여엄(麗嚴)·대통(大通)·심광(深光)·자인(慈忍)·영원(靈源) 등은 모두 무염의 제자들이다.[7]
심광은 진성여왕 때 덕유산 영각사(靈覺寺)에 있으면서 성주산파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그의 문하에서 현휘(玄暉)가 배출되었다. 현휘는 고려 태조에 의해 국사(國師)가 되었으며, 충주 개천산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펼쳐 활행(闊行) 등 몇백명의 제자를 배출시켰다. 무염의 뛰어난 제자인 대통은 845년([[신라
문성왕]] 문성왕 7) 제천 월광사(月光寺)에서 선법을 폈으며, 여엄 또한 양평 보리사(菩提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하였다.[8]
고려 태조와 성주산문
성주산문의 법을 이은 승려들은 왕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는데 여엄이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중 한 명으로 왕건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현휘 또한 왕건에게 통일사상을 고취시켜 줌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9]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시각자료
주석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무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 - ↑ "성주사지",
『위키백과』online . - ↑ "성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쪽.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성주산문",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90쪽.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장일규, 「신라 말 고려 초 선승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산문 형성 과정」, 『신라사학회』 Vol.39, 2017, 133-163쪽.
- "성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