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회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참고문헌)
58번째 줄: 5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회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9706&cid=42980&categoryId=42980 회양]",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9706&cid=42980&categoryId=42980 회양]",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2017년 10월 7일 (토) 12:25 판

회양(懷讓)
BHST Monk1.png
대표명칭 회양
한자 懷讓
이칭 남악(南岳)
성씨 두씨(杜氏)
출신지 금주(金州) 안강(安康)


정의

중국 당나라 때의 선승(禪僧).

내용

가계와 탄생

회양의 성은 두(杜). 칙시(勅諡) 대혜선사(大慧禪師)이다. 산시성(山西省) 에서 출생하였다.[1]

출가수행

15세 때 후베이성[湖北省] 징저우[荊州]에 있는 옥천사(玉泉寺)의 홍경율사(弘景律師)를 따라 출가하여 하오산(蒿山)의 혜안(慧安)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후에 조계산(曹溪山)에 들어가 선종(禪宗) 6조(祖)인 혜능(慧能) 밑에서 8년 동안 수도하여 마침내 대오(大悟)하였다.[2]

활동

개원(開元) 2년(714) 호남성 남악(南岳) 반야사(般若寺) 관음대(觀音臺)에 있으면서 30년 동안 크게 혜능의 학설을 펼치며 독자적인 선풍을 떨쳤다. 이 법계를 남악하(南岳下)라고 한다. 그리하여 남악회양으로 불린다.[3] 같은 6조 문하인 청원행사(靑原行思)의 법계인 청원하(靑原下)와 더불어 교풍을 떨쳐 후세의 선종에는 이 두 법계만이 융성하였다.[4]

《경덕전 등록(景德傳燈錄)》(제6권)에 의하면 사법(嗣法)의 제자 9인 중 마조 도일(馬祖道一)만이 이 법통(法通)을 이어받아, 후일 임제종(臨濟宗) ·위앙종(潙仰宗) 등의 종파로 발전하였다. 또 그 후의 보화종(普化宗) ·황벽종(黃檗宗)도 이 계통이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두산백과
  2. 두산
  3.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4. 두산백과
  5. 두산

참고문헌

  • "[* "회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회양",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