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정의)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
45번째 줄: | 43번째 줄: | ||
|- | |- | ||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곽영]]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고인후]]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고경명]] || [[고인후]] || 아들 |
|- | |- | ||
− | | [[ | + | | [[고경명]] || [[이이]]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7년 10월 2일 (월) 01:03 판
1차 금산전투(錦山戰鬪) | |
대표명칭 | 1차 금산전투 |
---|---|
한자표기 | 錦山戰鬪 |
이칭 | 금산싸움 |
유형 | 전투 |
시대 | 조선 |
날짜 | 1592년 8월 15일-16일 |
관련인물 | 고경명, 곽영, 고인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관련장소 | 금산 |
관련유물유적 | 금산 종용사 |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인 1592년(선조 25) 8월 15일에서 16일까지 의병장 고경명이 지휘한 의병과 관군이 왜군과 금산에서 싸운 전투.
내용
8월 15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은 7,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한성을 향해 북상하였다. 그가 전주를 출발하여 여산에 이르렀을 때 왜군이 전라도로 침입해 들어올 것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고경명은 당초 계획을 바꾸어 왜군을 물리친 후 북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전라도 방어사 곽영은 금산 서쪽 진산에 진을 치고 있었다.[1]
한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지휘하는 왜군은 8월 15일 전주로 진출하려다가 이치전투(梨峙戰鬪)에서 권율(權慄, 1537~1599)이 이끈 조선군에게 크게 패하고 금산으로 철수하여 1만 5000여 명의 병력이 금산에 주둔하고 있었다. 고경명의 의병은 곽영의 관군과 함께 진산을 거쳐 8월 15일 금산에 도착하여 금산성을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왜군은 성 위에서 조총 사격으로 조선군의 접근을 저지하려고만 할 뿐 적극적인 대항을 하지 않았다. 이는 전날 이치전투에서 대패하여 병력 손실이 많아 미처 전열을 정비하지 못한 때문이었다.[2]
8월 16일
8월 16일 아침, 고경명은 금산성 서문을 공격 목표로 잡고 의병의 주력을 서문 공격에 투입하였다. 그때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조선군의 관군이 허약한 것을 보고 동문으로 출진하여 관군을 공격하였다.[3] 왜군의 선제공격을 받은 곽영과 관군은 후퇴하였고 덩달아 사기가 떨어진 의병군도 붕괴되고 말았다. 고경명은 끝까지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아들 고인후 등과 함께 순절하였다.[4]
결과 및 의의
1차 금산전투는 관군과 의병의 연합작전 실패로 비록 금산성 탈환에는 실패하였지만, 왜군의 전주 진출을 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금산전투 | 1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곽영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인후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경명 | 고인후 | 아들 | |
고경명 | 이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문안식, "금산성 전투",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금산싸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문안식, "금산성 전투",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김진봉, "금산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
- 김진봉, "금산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