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백동화무효에관한고시.jpg |대표명칭= 백도와 무효에 관한 고시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Notification...)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1909년 1월 1일부터 | + | 1909년 1월 1일부터 [[대한제국]]의 법화인 [[백동화]] 통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탁지부]] 고시문 |
==텍스트== | ==텍스트== | ||
− | 1909년 1월 1일부터 | + | 1909년 1월 1일부터 [[대한제국]]의 [[법화|법화法貨]]인 [[백동화]] 통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탁지부]] 고시문考試文이다. |
− | 개항 이후 급진적으로 변천하는 근대화의 물결은 화폐제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당오전 발행으로 인한 환란을 계기로 화폐제 개혁의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894년고종31 | + | 개항 이후 급진적으로 변천하는 근대화의 물결은 화폐제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당오전]] 발행으로 인한 환란을 계기로 화폐제 개혁의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894년고종31 [[은본위제]]가 도입되었으나본위 화폐의 주조는 미미하고 보조화폐인 2전 5푼의 [[백동화]]가 남발되었다. 2전 5푼의 [[백동화]]는 [[전환국]]에서 주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간인도 면허세를 납부하면 주조할 수 있도록 했으며 황실의 수입을 위해 일부 특정인에게도 주조를 허용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에 의한 불법 주조와 밀수입도 성행하였다. 이와 같이 남발된 백동화로 인해 1900년부터 1905년까지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국민 생활은 도탄에 빠지고 상거래는 마비 상태에 이르렀다. 이로써 시중에서는 백동화로는 거래가 되지 않았고 임금도 백동화로는 받지 않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
− | 이러한 사태에 대해 1898년 6월 | + | 이러한 사태에 대해 1898년 6월 [[독립협회]]는 보조화폐의 유통을 중단하도록 항의했고 1902년 3월에는 각국 공사들이 결의하여 ‘백동화 주조의 중지’를 건의하기도 하였다. 결국 1902년 [[백동화]]의 주조를 일단 정지했으나 일본으로부터 불법적인 밀수입이 지속되어 일본 정부가 [[백동화]] 위조를 금지하는 칙령까지 공포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7쪽.</REF> |
2017년 2월 16일 (목) 16:38 판
백도와 무효에 관한 고시 | |
영문명칭 | Notification about invalidation of Baekdonghwa |
---|---|
작자 | 미상 |
작성시기 | 1909년 |
간행시기 | 개항기 |
간행처 | 탁지부 |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27×39㎝ |
판본 | 석인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개요
1909년 1월 1일부터 대한제국의 법화인 백동화 통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탁지부 고시문
텍스트
1909년 1월 1일부터 대한제국의 법화法貨인 백동화 통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탁지부 고시문考試文이다. 개항 이후 급진적으로 변천하는 근대화의 물결은 화폐제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당오전 발행으로 인한 환란을 계기로 화폐제 개혁의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894년고종31 은본위제가 도입되었으나본위 화폐의 주조는 미미하고 보조화폐인 2전 5푼의 백동화가 남발되었다. 2전 5푼의 백동화는 전환국에서 주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간인도 면허세를 납부하면 주조할 수 있도록 했으며 황실의 수입을 위해 일부 특정인에게도 주조를 허용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에 의한 불법 주조와 밀수입도 성행하였다. 이와 같이 남발된 백동화로 인해 1900년부터 1905년까지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국민 생활은 도탄에 빠지고 상거래는 마비 상태에 이르렀다. 이로써 시중에서는 백동화로는 거래가 되지 않았고 임금도 백동화로는 받지 않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1898년 6월 독립협회는 보조화폐의 유통을 중단하도록 항의했고 1902년 3월에는 각국 공사들이 결의하여 ‘백동화 주조의 중지’를 건의하기도 하였다. 결국 1902년 백동화의 주조를 일단 정지했으나 일본으로부터 불법적인 밀수입이 지속되어 일본 정부가 백동화 위조를 금지하는 칙령까지 공포하였다.[1]
시각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1] 한글전시도록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탁지부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법화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당오전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은본위제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독립협회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개념 | 대한제국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37.576821 | 126.974884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간행년 | 1909년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