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장군 유적 전승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유물유적정보 | |
− | + | |사진=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안내판 01.jpg | |
+ | |사진출처=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 | |대표명칭=계백장군유적전승지 | ||
+ | |한자표기=階伯將軍遺蹟傳承地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유적 | ||
+ | |시대=삼국시대 | ||
+ | |지정번호=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4호 | ||
+ | |지정일=1989년 12월 29일 | ||
+ | |소장처=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산 4 외 27필지 | ||
+ | |경도=127.174006 | ||
+ | |위도=36.191929 | ||
+ | |수량= | ||
+ | |관련인물=[[계백]]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정의'''== | ||
+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에 있는 [[계백]]장군 유허지.<ref>강정원,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288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내용'''== | ||
+ | ===황산벌전투=== | ||
+ | [[계백]]은 660년(의자왕 20) 나당연합군이 백제의 요충지인 탄현과 백강으로 진격해왔을 때 죽음을 각오한 5,000여 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 [[김유신]]의 5만 대군을 맞아 [[황산벌]]에서 싸웠다. 결사대의 용맹스러운 활약으로 4번의 싸움에서 이겼으나 중과부적으로 결사대와 함께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전쟁이 끝난 후 [[김유신]]은 [[계백]]의 시체를 찾도록 하였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고 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017 계백장군유적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br/> | ||
+ | |||
+ | ===조선왕조실록==== | ||
+ | 전란이 끝난 뒤 백제유민들이 장군의 시신을 거두어 이곳에 가매장하였다고 구전되어오며, 『선조실록(宣祖實錄)』과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에 [[계백]]을 비롯한 역대의 명장·충신의 묘를 보수하고 부근에서 짐승 먹이는 것을 금지한 내용이 실려 있다.<ref>심정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4 계백장군유적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
+ | ===발견 및 보수=== | ||
+ | 그 뒤 오랫동안 무덤을 찾지 못하다가 1966년 비로소 찾게 되었지만 발견 당시에는 봉분이 반 이상 무너져 석곽이 노출된 상태였다. 이에 부적면 사람들이 보수하여 지석을 안치하고 내광회벽을 완봉한 후 봉분 둘레 47.6m, 직경 15.15m, 봉분 높이 6.5m로 복묘하였다. 1976년 5월 19일에는 봉토를 만들고 비석을 세워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ref>강정원,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288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게백의 황산싸움"(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7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계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계백]] || [[황산벌싸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선조실록]]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광해군일기]]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4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41/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안내판 01.jpg | 계백장군과 논산8경 안내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안내판 02.jpg | 계백장군유적지 안내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홍살문.jpg | 홍살문<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충장사.jpg | 충장사<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충장사 안내판.jpg | 충장사 안내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황산벌전투도.jpg | 황산벌전투도<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논산 계백장군유적전승지 황산벌전적지.jpg | 황산벌전적지 안내도<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ref>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자원 | ||
+ | #* 심정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4 계백장군유적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강정원,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288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017 계백장군유적전승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 |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0774&content_id=cp020807740001&search_left_menu=8 계백장군유적전승지]", 문화원형 라리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3,00740000,34 계백장군유적전승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문화유산]] |
2017년 10월 5일 (목) 19:37 판
계백장군유적전승지 (階伯將軍遺蹟傳承地) |
|
대표명칭 | 계백장군유적전승지 |
---|---|
한자표기 | 階伯將軍遺蹟傳承地 |
유형 | 유적 |
시대 | 삼국시대 |
지정번호 |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4호 |
지정일 | 1989년 12월 29일 |
소장처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산 4 외 27필지 |
관련인물 | 계백 |
|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에 있는 계백장군 유허지.[1]
내용
황산벌전투
계백은 660년(의자왕 20) 나당연합군이 백제의 요충지인 탄현과 백강으로 진격해왔을 때 죽음을 각오한 5,000여 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 김유신의 5만 대군을 맞아 황산벌에서 싸웠다. 결사대의 용맹스러운 활약으로 4번의 싸움에서 이겼으나 중과부적으로 결사대와 함께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전쟁이 끝난 후 김유신은 계백의 시체를 찾도록 하였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고 한다.[2]
조선왕조실록=
전란이 끝난 뒤 백제유민들이 장군의 시신을 거두어 이곳에 가매장하였다고 구전되어오며, 『선조실록(宣祖實錄)』과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에 계백을 비롯한 역대의 명장·충신의 묘를 보수하고 부근에서 짐승 먹이는 것을 금지한 내용이 실려 있다.[3]
발견 및 보수
그 뒤 오랫동안 무덤을 찾지 못하다가 1966년 비로소 찾게 되었지만 발견 당시에는 봉분이 반 이상 무너져 석곽이 노출된 상태였다. 이에 부적면 사람들이 보수하여 지석을 안치하고 내광회벽을 완봉한 후 봉분 둘레 47.6m, 직경 15.15m, 봉분 높이 6.5m로 복묘하였다. 1976년 5월 19일에는 봉토를 만들고 비석을 세워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계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계백 | 황산벌싸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선조실록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광해군일기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강정원,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계백장군유적전승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 심정보, "계백장군유적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정원,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심정보, "계백장군유적전승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정원,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백장군유적전승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계백장군유적전승지", 문화원형 라리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계백장군유적전승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심정보, "계백장군유적전승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