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내경편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동의보감내경편언해_01.jpg |대표명칭= 동의보감내경편언해 |한자명칭= 東醫寶鑑內景篇諺解 |로마자명칭= Donguib...)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요==
 
==개요==
허준 편찬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언해
+
[[허준]] 편찬 『[[동의보감|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내경편內景篇]]」언해
  
 
==텍스트==
 
==텍스트==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한문본은 총 25권 25책의분량인데, 그중 「내경편」 권1·2를 언해한 것만 남아있다. 앞에 전체의 목차를 한글로 옮긴 것으로 미루어 당초 전체를 언해할 목적이었으나 어떤 사정에의해 「내경편」만 언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언해
+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내경편內景篇]]」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한문본은 총 25권 25책의분량인데, 그중 「[[내경편]]」 권1·2를 언해한 것만 남아있다. 앞에 전체의 목차를 한글로 옮긴 것으로 미루어 당초 전체를 언해할 목적이었으나 어떤 사정에의해 「[[내경편]]」만 언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언해 시기와 언해 담당자는 분명하지 않다.
기와 언해 담당자는 분명하지 않다.
+
장서각 유일본으로, 종이나 장정으로 보아 왕실에서 편찬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전체를 언해하여 일반 백성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의녀醫女 등이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언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5쪽.</REF>
장서각 유일본으로, 종이나 장정으로 보아 왕실에서 편찬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전체를 언해하여 일반 백성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의녀醫女 등이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언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6쪽.</REF>
 
  
  

2017년 2월 16일 (목) 16:18 판

동의보감내경편언해
한글팀 동의보감내경편언해 01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메인.jpg
한자명칭 東醫寶鑑內景篇諺解
영문명칭 A Korean annotated copy of Heo Jun’s Do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Eastern Medicine)
작자 미상
작성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327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4.8×23㎝
판본 필사본
수량 3冊
표기문자 한글



개요

허준 편찬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언해

텍스트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한문본은 총 25권 25책의분량인데, 그중 「내경편」 권1·2를 언해한 것만 남아있다. 앞에 전체의 목차를 한글로 옮긴 것으로 미루어 당초 전체를 언해할 목적이었으나 어떤 사정에의해 「내경편」만 언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언해 시기와 언해 담당자는 분명하지 않다. 장서각 유일본으로, 종이나 장정으로 보아 왕실에서 편찬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전체를 언해하여 일반 백성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의녀醫女 등이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언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동의보감내경편언해 인물 허준
동의보감내경편언해 개념 동의보감
동의보감내경편언해 개념 내경편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동의보감내경편언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동의보감내경편언해 간행년 19세기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