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장소정보
 
{{장소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평야지대.png
|사진출처=
+
|사진출처=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대표명칭=황산벌
 
|대표명칭=황산벌
 
|한자표기=黃山─
 
|한자표기=黃山─
28번째 줄: 2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68번째 줄: 73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황산벌_안내판_01.jpg | 황산벌 전투도<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안내판 03.jpg | 황산벌 전적지<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홍살문 01.jpg | 충렬사 홍살문<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01.jpg | 충렬사<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계백영정 01.jpg | 충렬사내 계백 표준영정<ref>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ref>
 +
</gallery>
 +
 
===영상===
 
===영상===
*'''황산벌전투와 5천결사대(Hwangsanbeol Battle and 5 Thousand Suicide Detachments)(게시일: 2012년 9월 20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VmfIjoU5YO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9nyjemgTuiU"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황산벌전투<ref>백제문화단지, ''Youtube'', 작성일: 2016년 05월 19일.</ref>
  
 
=='''주석'''==
 
=='''주석'''==
84번째 줄: 97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분류:민족/교열요청]]

2017년 10월 22일 (일) 20:49 판

황산벌(黃山─)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대표명칭 황산벌
한자표기 黃山─
유형 지명
주소 충남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관련인물 계백,김유신,관창


정의

충남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일대를 차지하는 넓은 들.[1]

내용

천호리(天護里) ·연산리 ·표정리(表井里) ·관동리(官洞里) ·송정리(松亭里) 등을 포함한다.[2]

명칭 유래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 태종무열왕조에는 ‘황산지원(黃山之原)’,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충청도 연산현 산천조에는 ‘황산지야(黃山之野)’라는 내용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시대부터 이미 있었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논산시 연산면 신량리에 황산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황산벌은 신양리 일대의 분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

역사적 격전지

백제 말기에 계백(階伯) 장군이 김유신(金庾信)의 신라군(軍)을 맞아 싸운 격전지로 알려져 있으며, 후백제의 신검(神劍)도 이 벌판에서 고려의 왕건(王建)에게 항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후백제 멸망 후 이를 기념하고자 태조는 황산을 천호산(天護山)이라 개칭하고 개태사(開泰寺)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우-황산싸움 계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싸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황산벌싸움 황산벌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유신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계백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관창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흠춘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품일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백제 의자왕 계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관창 계백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A edm:isRelatedTo B
계백 충곡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황산벌 신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산벌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산벌 신증동국여지승람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황산벌 삼국사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황산벌전투[11]

주석

  1. "황산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황산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강종원, "황산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황산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강종원, "황산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7.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8.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9.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10.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11. 백제문화단지, Youtube, 작성일: 2016년 05월 19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황산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강종원, "황산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