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범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범패의 용도)
21번째 줄: 21번째 줄:
 
===범패의 용도===
 
===범패의 용도===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
(1) 상주권공재
+
 
 +
====상주권공재====
 
죽은 자를 위하여 행하며 보통 하루가 걸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재로 49재나 소상(小祥)·대상(大祥) 때 흔히 이 재를 행한다. 무속의 진오귀굿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죽은 자를 위하여 행하며 보통 하루가 걸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재로 49재나 소상(小祥)·대상(大祥) 때 흔히 이 재를 행한다. 무속의 진오귀굿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 喝香>부터 시작하여 <합장게 合掌偈>·<개계 開啓>·<쇄수게 灑水偈>·<복청게 伏請偈>·<사방찬 四方讚>·<도량게 道場偈>·<참회게 懺悔偈>·<헌좌게 獻座偈>·<가영 歌詠>·<등게 燈偈>……의 순으로 배운다.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 喝香>부터 시작하여 <합장게 合掌偈>·<개계 開啓>·<쇄수게 灑水偈>·<복청게 伏請偈>·<사방찬 四方讚>·<도량게 道場偈>·<참회게 懺悔偈>·<헌좌게 獻座偈>·<가영 歌詠>·<등게 燈偈>……의 순으로 배운다.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7언의 4구로 되어 있는 한문의 정형시이다. 그러나 ‘게’ 자가 붙지 않은 <개계>·<유치 由致>·<청사 請詞> 등은 시가 아니라 한문의 산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소청진언 普召請眞言>·<보공양진언 普供養眞言> 등 진언이라 한 것은 한문 사설이 아니라 범어(梵語), 즉 산스크리트(Sanskrit:고대 인도어)로 되어 있다.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7언의 4구로 되어 있는 한문의 정형시이다. 그러나 ‘게’ 자가 붙지 않은 <개계>·<유치 由致>·<청사 請詞> 등은 시가 아니라 한문의 산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소청진언 普召請眞言>·<보공양진언 普供養眞言> 등 진언이라 한 것은 한문 사설이 아니라 범어(梵語), 즉 산스크리트(Sanskrit:고대 인도어)로 되어 있다.
(2) 시왕각배재
+
 
 +
====시왕각배재====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10대왕(十大王)에게 자비를 비는 것이다.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10대왕(十大王)에게 자비를 비는 것이다.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
(3) 생전예수재
+
 
 +
 
 +
====생전예수재====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이다. 무속의 생(生)오귀굿에 해당한다.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이다. 무속의 생(生)오귀굿에 해당한다.
(4) 수륙재
+
 
 +
====수륙재====
 
수중고혼을 위한 재로서 무속의 용왕굿에 비교된다. 그러나 수륙재의 원래 의미는 반드시 수중고1혼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수중고혼을 위한 재로서 무속의 용왕굿에 비교된다. 그러나 수륙재의 원래 의미는 반드시 수중고1혼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규모가 큰 수륙재는 처음에 절에서 영산재를 행하고, 나중에 강이나 바다로 나가서 수륙재를 행한다. 전자의 영산재만 하더라도 3일간이나 걸릴 만큼 아주 규모가 큰 재이다.
 
규모가 큰 수륙재는 처음에 절에서 영산재를 행하고, 나중에 강이나 바다로 나가서 수륙재를 행한다. 전자의 영산재만 하더라도 3일간이나 걸릴 만큼 아주 규모가 큰 재이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영산재를 생략하고 처음부터 강이나 바다에 나가서 배를 띄워 놓고 수륙재만을 거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영산재를 생략하고 처음부터 강이나 바다에 나가서 배를 띄워 놓고 수륙재만을 거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수륙재의 절차는 서찬편·상단(上壇)·사자단(使者壇)·오로단(五路壇)·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회향단의 순으로 되어 있는데, 각 단마다 수십 개씩의 소리로 되어 있다. 방생재(放生齋)는 하단의 끝부분에 속하는 절차로 강이나 바다에 배를 띄워 놓고 하는 규모가 큰 방생재를 행하고 나면 회향단을 생략하고 끝마친다.
 
수륙재의 절차는 서찬편·상단(上壇)·사자단(使者壇)·오로단(五路壇)·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회향단의 순으로 되어 있는데, 각 단마다 수십 개씩의 소리로 되어 있다. 방생재(放生齋)는 하단의 끝부분에 속하는 절차로 강이나 바다에 배를 띄워 놓고 하는 규모가 큰 방생재를 행하고 나면 회향단을 생략하고 끝마친다.
(5) 영산재
+
 
 +
====영산재====
 
가장 규모가 큰 재로 3일이나 걸리는데,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武運長久) 또는 큰 단체를 위해서, 또는 죽은 자를 위해서도 행한다.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을 배우고 각배(各拜)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가장 규모가 큰 재로 3일이나 걸리는데,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武運長久) 또는 큰 단체를 위해서, 또는 죽은 자를 위해서도 행한다.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을 배우고 각배(各拜)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올리는 데 3일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인만큼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다. 1968년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봉원사에서 행한 영산재에서는 142곡이나 불렸다.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올리는 데 3일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인만큼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다. 1968년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봉원사에서 행한 영산재에서는 142곡이나 불렸다.

2017년 9월 16일 (토) 15:24 판

범패
(塔碑)
대표명칭 범패
한자표기 塔碑



정의

불교의 의식음악. 일명 범음(梵音)·어산(魚山) 또는 인도(印度, 引導) 소리라고도 한다.[1]

내용

기원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영산회상 기원설, 묘음보살(妙音菩薩)의 음악공양설, 중국 조식(曺植)창작설 등이 있고, 그 전승에 대하여 오(吳)의 지겸(支謙)이 범패삼계(梵唄三契)를 짓고, 강승회(康僧會)가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성명(梵唄聲明)을 크게 유생시켰다.[2]

보통 우리 나라의 범패는 신라의 진감선사(眞鑑禪師)에서 비롯된 것같이 되어 있다. 진감선사는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진감선사대공탑비문(眞鑑禪師大空塔碑文)에 의하면 804년(애장왕 5) 재공사(才貢使)로 당나라에 갔다가 830년(흥덕왕 5)에 귀국한 뒤, 옥천사(玉泉寺), 즉 쌍계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3]

범패의 용도

범패는 주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 등 다섯 가지 재에 쓰인다.

상주권공재

죽은 자를 위하여 행하며 보통 하루가 걸린다. 가장 규모가 작은 재로 49재나 소상(小祥)·대상(大祥) 때 흔히 이 재를 행한다. 무속의 진오귀굿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범패승이 처음 소리를 배울 때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공부터 배우게 되는데, <할향 喝香>부터 시작하여 <합장게 合掌偈>·<개계 開啓>·<쇄수게 灑水偈>·<복청게 伏請偈>·<사방찬 四方讚>·<도량게 道場偈>·<참회게 懺悔偈>·<헌좌게 獻座偈>·<가영 歌詠>·<등게 燈偈>……의 순으로 배운다. 이 곡목 중 끝에 ‘게(偈)’ 자로 된 곡의 사설은 한문의 4·5언 또는 7언의 4구로 되어 있는 한문의 정형시이다. 그러나 ‘게’ 자가 붙지 않은 <개계>·<유치 由致>·<청사 請詞> 등은 시가 아니라 한문의 산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소청진언 普召請眞言>·<보공양진언 普供養眞言> 등 진언이라 한 것은 한문 사설이 아니라 범어(梵語), 즉 산스크리트(Sanskrit:고대 인도어)로 되어 있다.

시왕각배재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공재보다는 약간 규모가 크다. 주로 재수를 위하여 드리는 의식으로 저승에 있다는 10대왕(十大王)에게 자비를 비는 것이다. 시왕이란 진광대왕(秦廣大王)·초강대왕(初江大王)·송제대왕(宋帝大王)·오관대왕(五官大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대왕(變成大王)·태산대왕(泰山大王)·평등대왕(平等大王)·도시대왕(都市大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


생전예수재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이다. 무속의 생(生)오귀굿에 해당한다.

수륙재

수중고혼을 위한 재로서 무속의 용왕굿에 비교된다. 그러나 수륙재의 원래 의미는 반드시 수중고1혼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규모가 큰 수륙재는 처음에 절에서 영산재를 행하고, 나중에 강이나 바다로 나가서 수륙재를 행한다. 전자의 영산재만 하더라도 3일간이나 걸릴 만큼 아주 규모가 큰 재이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영산재를 생략하고 처음부터 강이나 바다에 나가서 배를 띄워 놓고 수륙재만을 거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수륙재의 절차는 서찬편·상단(上壇)·사자단(使者壇)·오로단(五路壇)·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회향단의 순으로 되어 있는데, 각 단마다 수십 개씩의 소리로 되어 있다. 방생재(放生齋)는 하단의 끝부분에 속하는 절차로 강이나 바다에 배를 띄워 놓고 하는 규모가 큰 방생재를 행하고 나면 회향단을 생략하고 끝마친다.

영산재

가장 규모가 큰 재로 3일이나 걸리는데,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武運長久) 또는 큰 단체를 위해서, 또는 죽은 자를 위해서도 행한다.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을 배우고 각배(各拜)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올리는 데 3일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인만큼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다. 1968년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봉원사에서 행한 영산재에서는 142곡이나 불렸다.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만영,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범패소개, 불교음악연구소, http://www.pompae.or.kr/
  3. 민백

참고문헌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