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별활동)
38번째 줄: 38번째 줄:
 
1574년(선조 7)에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형조 좌랑을 거쳐 옥구 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고, 이어 장수 현감(長水縣監), 무장 현감(茂長縣監), 영암 군수(靈岩郡守)를 지냈다. 1584년(선조 17)에는 다시 호조 정랑, 형조,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역임하였고, 이어 사도시정(司導寺正),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내던 중 1590년(선조 23) 어머니 상을 당하여 사직하고 화순으로 귀가 하였다.<ref>김만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1460&cid=51953&categoryId=55423 최경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화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574년(선조 7)에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형조 좌랑을 거쳐 옥구 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고, 이어 장수 현감(長水縣監), 무장 현감(茂長縣監), 영암 군수(靈岩郡守)를 지냈다. 1584년(선조 17)에는 다시 호조 정랑, 형조,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역임하였고, 이어 사도시정(司導寺正),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내던 중 1590년(선조 23) 어머니 상을 당하여 사직하고 화순으로 귀가 하였다.<ref>김만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51460&cid=51953&categoryId=55423 최경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화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의별활동===
+
===의병활동===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최경운]](崔慶雲)·[[최경장]](崔慶長)과 함께 고을사람들을 효유(曉諭)하여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 때는 [[고경명]](高敬命)이 이미 전사한 뒤여서 그의 휘하였던 문홍헌(文弘獻) 등이 남은 병력을 수습하여 이에 합류함으로써 의병장에 추대되었다.
+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최경운]](崔慶雲)·[[최경장]](崔慶長)과 함께 고을사람들을 효유(曉諭)하여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 때는 [[고경명]](高敬命)이 이미 전사한 뒤여서 그의 휘하였던 문홍헌(文弘獻) 등이 남은 병력을 수습하여 이에 합류함으로써 의병장에 추대되었다.<br/>
각 고을에 격문을 띄워 의병을 규합, 금산·무주에서 전주·남원으로 향하는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고, 금산에서 퇴각하는 적을 추격하여 우지치(牛旨峙)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이 싸움은 [[진주대첩]](제1차 진주전투)을 보다 쉽게 하였다. 이 공로로 경상우병사에 임명되었다.
+
각 고을에 격문을 띄워 의병을 규합, 금산·무주에서 전주·남원으로 향하는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고, 금산에서 퇴각하는 적을 추격하여 우지치(牛旨峙)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이 싸움은 [[진주대첩]](제1차 진주전투)을 보다 쉽게 하였다. 이 공로로 경상우병사에 임명되었다.<br/>
 
1593년 6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등이 진주성을 다시 공격하여오자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충청병사 [[황진]](黃進), 복수의병장(復讐義兵將) [[고종후]](高從厚) 등과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였으나 9일 만에 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자살하였다.<ref>송정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181 최경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593년 6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등이 진주성을 다시 공격하여오자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충청병사 [[황진]](黃進), 복수의병장(復讐義兵將) [[고종후]](高從厚) 등과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였으나 9일 만에 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자살하였다.<ref>송정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181 최경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9월 16일 (토) 13:57 판

최경회(崔慶會)
송정현, "최경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최경회
한자표기 崔慶會
생몰년 1532년(중종 27)-1593년(선조 26)
본관 해주(海州)
삼계(三溪)·일휴당(日休堂)
선우(善遇)
출생지 능주(陵州)
시대 조선
대표저서 투강시
대표직함 경상우병사
유형 의병장



정의

조선 중기의 의병장.

내용

임진왜란 이전

1548년(명종 3) 양응정(楊應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57년 광주(光州)의 기대승(奇大升)을 찾아가 사사(師事)하였다. 1561년(명종 16년)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고, 1567년(명종 22)에 문과(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였다. 그후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천거에 의해 다양한 관직을 맡았다.
1574년(선조 7)에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형조 좌랑을 거쳐 옥구 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고, 이어 장수 현감(長水縣監), 무장 현감(茂長縣監), 영암 군수(靈岩郡守)를 지냈다. 1584년(선조 17)에는 다시 호조 정랑, 형조,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역임하였고, 이어 사도시정(司導寺正),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내던 중 1590년(선조 23) 어머니 상을 당하여 사직하고 화순으로 귀가 하였다.[1]

의병활동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최경운(崔慶雲)·최경장(崔慶長)과 함께 고을사람들을 효유(曉諭)하여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 때는 고경명(高敬命)이 이미 전사한 뒤여서 그의 휘하였던 문홍헌(文弘獻) 등이 남은 병력을 수습하여 이에 합류함으로써 의병장에 추대되었다.
각 고을에 격문을 띄워 의병을 규합, 금산·무주에서 전주·남원으로 향하는 일본군을 장수에서 막아 싸웠고, 금산에서 퇴각하는 적을 추격하여 우지치(牛旨峙)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이 싸움은 진주대첩(제1차 진주전투)을 보다 쉽게 하였다. 이 공로로 경상우병사에 임명되었다.
1593년 6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등이 진주성을 다시 공격하여오자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충청병사 황진(黃進), 복수의병장(復讐義兵將) 고종후(高從厚) 등과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였으나 9일 만에 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자살하였다.[2]

사후

화순현읍지에 그의 「투강시(投江詩)」가 실려 있다. 진주 창렬사(彰烈祠), 능주 포충사(褒忠祠)에 제향되었다.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의(忠毅)이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기대승 최경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경회 최경장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최경회 최경운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최경회 우지치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천일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황진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김성일 A는 B과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최경회 화순 포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시각자료

주석

  1. 김만호, "최경회", 『디지털화순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송정현, "최경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경회",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만호, "최경회", 『디지털화순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송정현, "최경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경회",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