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 항목) |
|||
75번째 줄: | 75번째 줄: | ||
|{{PAGENAME}} ||[[월남 작가]] || A는 B에 포함된다 | |{{PAGENAME}} ||[[월남 작가]]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 ||
+ | | [[구상전]]|| [[박창돈]]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2017년 9월 20일 (수) 04:01 판
작가소개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난 박창돈은 해주사범 강습과, 해주예술학교를 졸업하고 해주미술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9년 남하한 그는 한국전쟁 동안 부산에서 활동하다가 상경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다수의 입선과 특선을 거쳐 추천작가, 초대자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1950년대 말부터 창작미협과 구상전 회원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면서 향토적인 소재와 표현으로 한국적인 조형세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1950년대에는 실향과 전쟁이라는 고난의 시간을 살던 심경을 담은 추상적 조형실험의 시기로 그의 조형적 특징인 정적이면서도 관념적인 화면의 분위기를 만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재료의 질감이 강조되고 선에 의한 이미지와 색면으로 대상이 해체되는 기하학적인 추상공간 위에 부유하듯 떠도는 이미지들에 의한 화면이 그것이다. 1970년대 전후로부터는 회갈색조의 차분하고 깊이감이 느껴지는 화면 위에 한국적이고 서정적인 이미지들이 드러나는 화면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후 수묵화의 여백처럼 깊은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화면에 수직, 수평의 정적인 구도로 서정적 심상과 향수를 느끼게 하는 소년, 여인, 말, 비둘기, 산과 초가집 등의 이미지가 잠기듯 떠있는 화면은 독창적인 .그의 작품세계로 자리하였다. 서양의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그는 망향으로 인한 향수와 애상을 담은 그림으로부터 시작하여, 낯익은 이미지를 개성 있는 조형방식으로 간결하면서도 서정적으로 화면에 재현한 친근한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학력
- 1945 북한 해주사범학교 강습과 수료
- 1948 북한 해주예술학교 미술과 졸업
경력
- 창작미술협회, 구상전 창립회원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전시
- 1963 한국현대화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7-78 구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0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아시아현대미술전, 일본 동경도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0 세계평화미술제, 예술의전당
- 2005 한국구상대전, 예술의 전당
- 2008 서울미술대전-한국현대구상화의 흐름, 서울시립미술관
- 2013 명화를 만나다-한국근현대회화 100선,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 2014 이동훈미술상 수상기념전,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살롱85 한국전 은상, 파리 그랑팔레
-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3회
- 제11회 이동훈미술상, 중도일보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A항목 | B항목 | 관계 |
---|---|---|
박창돈 | 박창돈-금성사 | A는 B를 그렸다 |
박창돈 | 박창돈-안시성싸움 | A는 B를 그렸다 |
박창돈 | 박창돈-선경(모직) | A는 B를 그렸다 |
박창돈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박창돈 | 월남 작가 | A는 B에 포함된다 |
| 구상전|| 박창돈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박창돈 | 박창돈-금성사 제작연도 | 1973년 |
박창돈 | 박창돈-안시성싸움 제작연도 | 1975년 |
박창돈 | 박창돈-선경(모직) 제작연도 | 1975년 |
박창돈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제작연도 | 1976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참고문헌
- 사이트
- "박창돈",『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3월 25일 확인)
-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린 화가, 박창돈",『한겨레신문』, 2007년 2월 13일. (2017년 3월 27일 확인)
- "박창돈",『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3월 25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