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가례언해 |한자명칭= 家禮諺解 |로마자명칭= |영문명칭=A Korean annotation of family rites |작자= 신식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1632년(인조3) [[신식]](申湜, 1551~1623)이 『[[가례]](家禮)』를 언해한 책이다. 『[[가례]]』는 [[주희]](朱熹)가 가정에서 행하는 예절을 모아 엮은 것으로, 통례(通禮),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장례(葬禮), 제례(祭禮) 등의 예절을 다루고 있다. 이 『[[가례]]』는 국가와 사대부가에서 행하는 모든 예식(禮式)을 해석했으며, 모든 예식이 이에 의거해 충실히 실행되어 왔다. 따라서 『[[가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우리말로 번역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 1632년(인조3) [[신식]](申湜, 1551~1623)이 『[[가례]](家禮)』를 언해한 책이다. 『[[가례]]』는 [[주희]](朱熹)가 가정에서 행하는 예절을 모아 엮은 것으로, 통례(通禮),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장례(葬禮), 제례(祭禮) 등의 예절을 다루고 있다. 이 『[[가례]]』는 국가와 사대부가에서 행하는 모든 예식(禮式)을 해석했으며, 모든 예식이 이에 의거해 충실히 실행되어 왔다. 따라서 『[[가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우리말로 번역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 ||
− | 이 『가례언해』는 신식이 만년에 언해한 것을, 그의 아들 [[신득연]](申得淵, 1585~1647)이 1632년 강원도관찰사 재직 당시 [[원주]]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범례와 [[신득연]]의 발문을 보면, “예악에 밝았던 신식이 편찬 언해한 것인데, 이 유고가 세상에 전하지 못 하고 인멸될 것을 우려하여 3개월에 걸쳐 간행하였다.”고 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 + | 이 『가례언해』는 신식이 만년에 언해한 것을, 그의 아들 [[신득연]](申得淵, 1585~1647)이 1632년 강원도관찰사 재직 당시 [[원주]]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범례와 [[신득연]]의 발문을 보면, “예악에 밝았던 신식이 편찬 언해한 것인데, 이 유고가 세상에 전하지 못 하고 인멸될 것을 우려하여 3개월에 걸쳐 간행하였다.”고 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2쪽.</REF> |
2017년 2월 4일 (토) 16:43 판
가례언해 | |
한자명칭 | 家禮諺解 |
---|---|
영문명칭 | A Korean annotation of family rites |
작자 | 신식 |
간행시기 | 1632년(인조3)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A5E-68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2.3×20.8cm |
판본 | 목판본 |
수량 | 4책 |
표기문자 | 한글,한자 |
개요
1632년(인조3) 신식(申湜, 1551~1623)이 『가례(家禮)』를 언해한 책이다.
내용
1632년(인조3) 신식(申湜, 1551~1623)이 『가례(家禮)』를 언해한 책이다. 『가례』는 주희(朱熹)가 가정에서 행하는 예절을 모아 엮은 것으로, 통례(通禮),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장례(葬禮), 제례(祭禮) 등의 예절을 다루고 있다. 이 『가례』는 국가와 사대부가에서 행하는 모든 예식(禮式)을 해석했으며, 모든 예식이 이에 의거해 충실히 실행되어 왔다. 따라서 『가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우리말로 번역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 『가례언해』는 신식이 만년에 언해한 것을, 그의 아들 신득연(申得淵, 1585~1647)이 1632년 강원도관찰사 재직 당시 원주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범례와 신득연의 발문을 보면, “예악에 밝았던 신식이 편찬 언해한 것인데, 이 유고가 세상에 전하지 못 하고 인멸될 것을 우려하여 3개월에 걸쳐 간행하였다.”고 하였다.[1]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가례언해 | 작성자 | 신식 |
가례언해 | 인물 | 주희 |
가례언해 | 인물 | 신득연 |
가례언해 | 장소 | 원주 |
가례언해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가례언해 | 간행년 | 1632년 |
가례언해 | 간행년 | 인조3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가례언해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