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빈 의대 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왕세자빈 의대 발기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The list of clothes sent to three candidates of Crown...)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작자= 미상 | |작자= 미상 | ||
|작성시기= | |작성시기= | ||
− | |간행시기= 1882년 | + | |간행시기= 1882년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경주김씨 직각종택 | |기탁처=경주김씨 직각종택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noinclude> | </noinclude> | ||
− | == | + | ==정의== |
1882년([[고종]]19, 임오년) 왕세자 척(1874~1926, 후일 [[순종]])의 가례 시 재간택에 선발된 3명의 후보자에게 보낸 의대발기이다. | 1882년([[고종]]19, 임오년) 왕세자 척(1874~1926, 후일 [[순종]])의 가례 시 재간택에 선발된 3명의 후보자에게 보낸 의대발기이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배면에 <임오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재(*고한글)간택(*고한글)후보내(*고한글)오실 빈궁마누라의대(*고한글)발(*고한글)긔>라는 제목이 있어 본 의대의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청색, 연보라색 등 세 가지 색깔의 한지를 이어 붙인 후 삼간택에 들어올 처자에게 지급할 물목을 적어 놓았다. 본 발기의 특징은 삼간택에 들어올 때 착용할 수 있도록 머리 수식에서부터 겉옷, 속옷은 물론 신발에 이르기까지 완성된 의복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이다. 이는 왕실의 복식이 일반 사가의 복식과는 다르기 때문에 옷감이 아닌 완성된 의복을 장만하여 지급한 것으로 이해된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F> | 배면에 <임오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재(*고한글)간택(*고한글)후보내(*고한글)오실 빈궁마누라의대(*고한글)발(*고한글)긔>라는 제목이 있어 본 의대의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청색, 연보라색 등 세 가지 색깔의 한지를 이어 붙인 후 삼간택에 들어올 처자에게 지급할 물목을 적어 놓았다. 본 발기의 특징은 삼간택에 들어올 때 착용할 수 있도록 머리 수식에서부터 겉옷, 속옷은 물론 신발에 이르기까지 완성된 의복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이다. 이는 왕실의 복식이 일반 사가의 복식과는 다르기 때문에 옷감이 아닌 완성된 의복을 장만하여 지급한 것으로 이해된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F> | ||
− | + | ==관련 항목==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가례도감]] || {{PAGENAME}} || A는 B를 저술했다 || 1882년 | ||
|- | |- | ||
− | | | + | |[[고종]] || [[순종]]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 | ||
− | |{{PAGENAME}} || | + | |{{PAGENAME}}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PAGENAME}} || | + | |[[가례]]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 |- | ||
− | |{{PAGENAME}} || | + | |[[간택단자 | 순종 간택단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class="wikitable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 ||
− | |{{PAGENAME}} | + | |1882년 || 순종의 가례를 위해 {{PAGENAME}} 저술되었다.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39197||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PAHENAME}}가 소장되어 있다. | |
|} | |} | ||
2017년 4월 15일 (토) 16:15 판
왕세자빈 의대 발기 | |
영문명칭 | The list of clothes sent to three candidates of Crown Princess for Sunjong in 1882 |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882년 |
기탁처 | 경주김씨 직각종택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961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24.1×93.7cm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장 |
표기문자 | 한글 |
정의
1882년(고종19, 임오년) 왕세자 척(1874~1926, 후일 순종)의 가례 시 재간택에 선발된 3명의 후보자에게 보낸 의대발기이다.
내용
1882년(고종19, 임오년) 왕세자 척(1874~1926, 후일 순종)의 가례 시 재간택에 선발된 3명의 후보자에게 보낸 의대발기이다.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1881년 11월 16일에 7세에서 11세까지의 처녀들에게 금혼령을 내리고, 1882년 1월 15일 초간택을 치렀으며, 1월 18일 재간택이 이루어졌다. 배면에 <임오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재(*고한글)간택(*고한글)후보내(*고한글)오실 빈궁마누라의대(*고한글)발(*고한글)긔>라는 제목이 있어 본 의대의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청색, 연보라색 등 세 가지 색깔의 한지를 이어 붙인 후 삼간택에 들어올 처자에게 지급할 물목을 적어 놓았다. 본 발기의 특징은 삼간택에 들어올 때 착용할 수 있도록 머리 수식에서부터 겉옷, 속옷은 물론 신발에 이르기까지 완성된 의복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이다. 이는 왕실의 복식이 일반 사가의 복식과는 다르기 때문에 옷감이 아닌 완성된 의복을 장만하여 지급한 것으로 이해된다. [1]
관련 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가례도감 | 왕세자빈 의대 발기 | A는 B를 저술했다 | 1882년 |
고종 | 순종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왕세자빈 의대 발기 | 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가례 | 왕세자빈 의대 발기 | A는 B에 언급된다 | |
순종 간택단자 | 왕세자빈 의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82년 | 순종의 가례를 위해 왕세자빈 의대 발기 저술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틀:PAHENAME가 소장되어 있다.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