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span style='color:blue'>'''[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3-1.htm 연계 관계망 보기]'''</span> | *<span style='color:blue'>'''[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3-1.htm 연계 관계망 보기]'''</span> | ||
+ | |||
+ | *<span style='color:blue'>'''[[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연계 스토리자원 보기: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span> | ||
+ | |||
+ | *<span style='color:blue'>'''[[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연계 스토리자원 보기: 조선중기의 대표문인 4인과 한글시가]]'''</span>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2017년 2월 2일 (목) 09:31 판
고산구곡도 | |
한자명칭 | 高山九曲圖 |
---|---|
영문명칭 |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
작자 | 미상 |
작성시기 | 1688(숙종14)~1701(숙종27) |
소장처 |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수록 |
유형 | 회화 |
판본 | 종이에 수묵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개요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
내용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이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고산구곡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이곳에서 은거의 뜻을 밝혔다.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이 <고산구곡도>는 현존 사례 가운데 제작 시기가 가장 올라가며,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주도하여 1688년(숙종14)경에 완성한 그림이다. 그림의 전체 구성은 왼편 제1곡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제9곡에 이르기까지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각 곡에는 주요 경물의 명칭을 적어놓았고, 고산구곡의 실경과 고산구곡가의 시어(詩語)를 절충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두루마리 위쪽에는 각 곡마다 3편의 시가 적혀 있다.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한글로 쓴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먼저 나오고, 이를 송시열이 한문으로 번역한 시와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등 9명이 쓴 무이도가(武夷棹歌) 시를 차운한 시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여기에 적힌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17세기 후반기의 한글 표기법을 참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 관계어 정의 | 대상 |
---|---|---|
고산구곡도 | isIncludedIn | 조선사료집진 |
고산구곡도설 | indicates | 고산구곡도 |
고산구곡도 | isRelatedTo | 기호학파 |
고산구곡도 | isModelledOn | 고산구곡가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고산구곡도 | 창작연대 | 1688(숙종14)~1701(숙종27)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고산구곡도 | 수록처 | 조선사료집진 | N/A | N/A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2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