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괴산 각연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대웅전 |한자표기= 槐山 覺淵寺 大雄殿 |영문명칭=Daeung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
 
(내용)
26번째 줄: 26번째 줄:
 
=='''내용'''==
 
=='''내용'''==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절의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절의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앞면 3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이 모셔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굵직한 기둥을 네 귀에 세우고, 나머지는 조금 가느다란 원형기둥을 세워 기둥 위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얹고 그 위를 다시 외3출목과 내5출목으로 전면과 후면을 쌓았으며 주간(柱間)에 3개의 공포(栱包)를 놓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376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굵직한 기둥을 네 귀에 세우고, 나머지는 조금 가느다란 원형기둥을 세워 기둥 위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얹고 그 위를 다시 외3출목과 내5출목으로 전면과 후면을 쌓았으며 주간(柱間)에 3개의 공포(栱包)를 놓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376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정면은 겹처마이며 후면은 홑처마로 조화를 이루고 중앙칸 평방 사이에 용두를 박아 어간(御間 : 건물의 중앙칸)의 위엄을 더하여 주고 있다. 정면과 배면의 제공(諸貢) 모양이 각기 다르며 내부에는 화반(花盤 : 창방 위 중간에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과 코끼리모양의 조각을 하였고, 우물마루를 깔았다. 외부 측면 끝을 방풍판(防風板)을 달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376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정면은 겹처마이며 후면은 홑처마로 조화를 이루고 중앙칸 평방 사이에 용두를 박아 어간(御間 : 건물의 중앙칸)의 위엄을 더하여 주고 있다. 정면과 배면의 제공(諸貢) 모양이 각기 다르며 내부에는 화반(花盤 : 창방 위 중간에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과 코끼리모양의 조각을 하였고, 우물마루를 깔았다. 외부 측면 끝을 방풍판(防風板)을 달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376 괴산각연사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앞면 3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이 모셔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9월 3일 (일) 23:27 판

괴산 각연사 대웅전
(槐山 覺淵寺 大雄殿)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대웅전
한자표기 槐山 覺淵寺 大雄殿
영문명칭 Daeung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시대 조선시대
지정번호 충북유형문화재 제126호
지정일 1982년 12월 17일
소장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관련장소 괴산 각연사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覺淵寺)에 있는 조선시대 법당

내용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절의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굵직한 기둥을 네 귀에 세우고, 나머지는 조금 가느다란 원형기둥을 세워 기둥 위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얹고 그 위를 다시 외3출목과 내5출목으로 전면과 후면을 쌓았으며 주간(柱間)에 3개의 공포(栱包)를 놓았다.[1]

정면은 겹처마이며 후면은 홑처마로 조화를 이루고 중앙칸 평방 사이에 용두를 박아 어간(御間 : 건물의 중앙칸)의 위엄을 더하여 주고 있다. 정면과 배면의 제공(諸貢) 모양이 각기 다르며 내부에는 화반(花盤 : 창방 위 중간에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과 코끼리모양의 조각을 하였고, 우물마루를 깔았다. 외부 측면 끝을 방풍판(防風板)을 달았다.[2]


앞면 3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이 모셔져 있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괴산 각연사 대웅전 괴산 각연사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괴산각연사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괴산각연사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