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법유학)
((귀국 및) 활동)
48번째 줄: 48번째 줄:
  
 
===(귀국 및) 활동===
 
===(귀국 및) 활동===
 +
{{blockquote|
 +
소경선사가 중국으로 돌아감에 미쳐 스님은 용천사(龍泉寺)의 주지가 되었는데, 이때 처음으로 백장(百丈) 회해(懷海) 선사가 제정한 『선문청규(禪門淸規)』를 가지고 실행하였다. 그후 선원사에서 15년간 주지하면서 선문의 종지를 드날려 나라의 모범이 되었다. 보광사로 온 것은 두 번째 사용된 지원(至元 : 원나라 順帝의 연호, 1335~1340년까지 사용) 2년(충숙왕 복위5, 1336)이었다.
 +
|출처=
 +
}}
  
 
===입적===
 
===입적===

2017년 8월 29일 (화) 10:20 판

충감(沖鑑)
BHST Monk1.png
대표명칭 충감
한자 沖鑑
생몰년 1274년(원종 15)-1338년(충숙왕 복위 7)
시호 원명(圓明)
설봉(雪峰)
충감(冲鑑)
탑호 원소(圓炤)
절조(絶照)
승탑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충감의 성은 김씨(金氏), 호는 설봉(雪峰), 자는 절조(絶照)이다.

Quote-left.png

국사는 휘(諱)는 충감(沖鑑)이요, 자(字)는 절조(絶照)이며, 호는 설봉(雪峯)이다.

Quote-right.png
출처:


출가수행

7세 때 부모의 명을 받고 선원사(禪源寺)에 출가하여 자오국사(慈悟國師)의 제자가 되었다. 1292년(충렬왕 18) 승과에 응시하여 상상과(上上科)에 올랐다.

Quote-left.png

어려서부터 이미 소식(素食)하였으며, 뭇 아이들과 유희를 하는데도 포백으로 가사(袈裟)를 만들어 불사(佛事)의 놀이를 하였고, 점차 자라서는 부모에게 명을 받고 선원사(禪源寺)에서 머리를 깎고는 자오국사(慈悟國師)에게 예를 드리고 스승으로 삼았다. 나이 19세에 승과(僧科)를 보아 상상과(上上科)에 올랐으나 어느 날 크게 탄식하여 말하기를, “비록 다시 저 시방(十方)에 있는 모든 부처님의 청정교리(淸靜敎理)를 항하사(恒河沙)같이 읽고 외운다 하더라도 다만 스스로 노고만을 더할 것이다.

Quote-right.png
출처:


구법유학

명예나 문자를 탐구하는 것보다는 도를 닦아 얻는 과보를 중시하여 각지를 다니면서 도를 구하다가 원나라에 들어갔다. 그 곳에서 도행(道行)이 높은 철산(鐵山)의 경선사(瓊禪師)를 만난 뒤 함께 귀국하여 3년 동안 제자의 예로 모셨다.

Quote-left.png

어느 날 크게 한숨쉬며 말하기를 ‘비록 시방세계 부처님들의 항하사의 모래알처럼 많은 청정한 가르침을 모두 익힌다고 하여도 다만 스스로 수고로움을 늘릴 뿐으로 어찌 무루과(無漏果 : 번뇌가 없는 궁극의 깨달음의 경지)를 닦음만 하겠는가’라 하고서 지금까지 공부하던 것을 버리고 곧바로 옷을 떨쳐 일어나 여러 지방으로 (깨달음을 구하여) 돌아다녔다. (중국의) 오초(吳楚 : 강남지방) 지역에 머물 때에 철산(鐵山) 소경(紹瓊) 선사의 도행이 대단히 높다는 이야기를 듣고서 모시고 고려로 돌아와서, 3년간 모시니 소경선사도 크게 기대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귀국 및) 활동

Quote-left.png

소경선사가 중국으로 돌아감에 미쳐 스님은 용천사(龍泉寺)의 주지가 되었는데, 이때 처음으로 백장(百丈) 회해(懷海) 선사가 제정한 『선문청규(禪門淸規)』를 가지고 실행하였다. 그후 선원사에서 15년간 주지하면서 선문의 종지를 드날려 나라의 모범이 되었다. 보광사로 온 것은 두 번째 사용된 지원(至元 : 원나라 順帝의 연호, 1335~1340년까지 사용) 2년(충숙왕 복위5, 1336)이었다.

Quote-right.png
출처: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