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창원 봉림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지식 관계망)
48번째 줄: 48번째 줄:
 
|-
 
|-
 
|[[구산선문]] || [[봉림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구산선문]] || [[봉림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827년 || [[심희]]이 [[창원 봉림사|봉림사]]를 창건하였다
 +
|-
 +
|827년 || [[심희]]사 [[창원 봉림사|봉림사]]에서 입적하였다
 +
|-
 
|}
 
|}
  

2017년 8월 26일 (토) 16:49 판

창원 봉림사지
(昌原 鳳林寺址)
대표명칭 창원 봉림사지
한자 昌原 鳳林寺址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동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27호
문화재 지정일 1993년 12월 27일
경내문화재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

내용

통일신라시대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봉림산문(鳳林山門)의 개창지이다. 봉림사는 894년경 심희(審希)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1]

창건 당시, 여기에는 김인광(金仁匡), 김율희(金律熙) 등 주변의 재지(在地)세력들이 심희를 후원하였다고 한다. 심희가 입적하던 923년(경명왕 7) 그의 법을 전해 받은 제자의 수가 500여 명에 이르렀다고 하며, 당시 봉림산문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 후에 고려 중기 혜목산(慧目山) 고달사(高達寺)가 부상하면서 산문의 중심이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2]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된 채 그대로 면적 6,978㎡의 절터만 남았고,[3] 현재는 그마저도 흔적을 찾기 힘들정도로 모두 논으로 개간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창원 봉림사지 창원 봉림사 A는 B의 터이다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심희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심희 A는 B를 위한 비이다
창원 봉림사지 삼층석탑 상북 초등학교 A는 B에 있다
심희 창원 봉림사 A는 B를 창건하였다
창원 봉림사지 봉림산문 A는 B에 포함된다
구산선문 봉림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27년 심희봉림사를 창건하였다
827년 심희봉림사에서 입적하였다

주석

  1. 이동 "봉림사지", 『두산백과』online.
  2. 이동 배상현, "봉림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동 "봉림사지", 『두산백과』online.
  4. 이동 채상식, "창원 봉림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배상현, "봉림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채상식, "창원 봉림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봉림사지",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