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장소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예성강 대표사진01.jpg |사진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231128&cid=57738&categoryId=57754 예성강]", 조...)
 
1번째 줄: 1번째 줄:
 
{{장소정보
 
{{장소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예성강 대표사진01.jpg
+
|사진=
|사진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231128&cid=57738&categoryId=57754 예성강]", 조선향토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사진출처=
|대표명칭=예성강
+
|대표명칭=벽란도
|한자표기=禮成江
+
|한자표기=碧瀾渡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안북하(安北河), 북하(北河) 
+
|이칭=예성항
|유형=
+
|유형=
|주소=황해북도 수안군, 황해남도 배천군, 황해남도 개성시 개풍군
+
|주소=경기도 개풍군 서면
|위도=38.335726
+
|위도=
|경도=126.475739
+
|경도=
|관련인물=[[이녕|이녕(李寧)]]
+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벽란도]]
+
|관련장소=[[예성강]]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황해북도 수안군 언진산에서 발원하여 황해남도 배천군과 개성시 개풍군 사이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강.<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956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려 시대 예성강 하류에 위치해 있었던 고려 때의 국제 무역항.<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개요===
+
근처 언덕에 있었던 [[벽란정]](碧瀾亭)이라는 관사(館舍)의 이름을 따 벽란도라고 불렀다. 중국 송나라의 사신 일행이 도착하였을 때와 떠나기 전에 [[벽란정]]에서 묵었다고 한다. 이전에는 [[예성강]]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예성항]](禮成港)이라 불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길이는 187.4km, 유역면적은 3,916.3km2로 북한에서 15번째로 큰 강이다. 고려에서 중국의 송나라와 교섭할 때 이곳에서 모든 배를 띄워 예절 있게 맞아들이고 다시 바래다 주었던 강이라 예성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956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려 시대===
===형성 및 변천===
+
물이 깊어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으며 고려 시대의 국도(國都)였던 [[개성]]과 가까이 위치하였던 관계로 벽란도는 고려 시대 제일의 하항이자 실질적인 유일의 국제 항구로서 발전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중국의 송나라 상인뿐만 아니라 일본을 비롯하여 멀리 남양지방(南洋地方)과 서역지방(西域地方)의 해상들까지 자주 드나들며 교역을 하였던 곳이다.<br/>
본래 상류는 곡산천이었으나 제4기 하세에 현무암이 분출되어 용암대지가 형성되고 물길이 막히면서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으로 흘러들게 되었다.<br/>
+
따라서 국제적인 교역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거나 국내로 들어오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려의 관문적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국내에서 벽란도는 국도인 개성으로 가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나루터였다. 특히, 육로로 중국에서 오는 도로상에 있어 통행인도 많았던 교통의 요지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역사적으로 예성강 유역은 고대 낙랑군에 속하였고 뒤에는 대방군에 예속되었다. 백제에 병합되었다가 [[고구려 광개토대왕|광개토왕]] 당시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구려의 멸망 뒤 당나라의 영토가 된 적도 있으나 곧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예성강은 안북하(安北河) 또는 북하(北河)라고도 불렸고 고려 초에 [[왕건]]이 송악(松岳)을 본거지로 해상에서 후백제의 [[견훤]]싸울 때 이곳이 수군의 근거지가 되었다. 예성강의 수운은 [[벽란도]](碧瀾渡)가 고려 송도의 배후 관문 구실을 담당하여 번영을 누렸다.<br/>
+
===고려 시대 이후===
연안에는 여러 곳에 포구가 있었고 그 중 연백군 유곡면의 [[금곡포]](金谷浦)는 유명한 포구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부근에 금곡연이 있고, 또한 금곡포창이 있어 연안·배천은 물론 해주·신천·풍천·장연·문화 등 여러 고을의 전세 양곡을 이곳에서 수납하여 서울로 조운하였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956 예성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려 시대에 중요한 무역항이며 국제항이자 교통의 요지였던 벽란도의 기능은 조선시대에 들면서 점차 그 역할이 감소되었다. 더구나 철도교통을 비롯하여 육상교통이 발달하고 다른 항구들이 개항을 하게 되자 그 역할은 더욱 축소되었으며 마침내는 그 역할을 거의 상실하였다. 그러나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던 곳이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829 벽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관련 사실===
 
고려 시대 송나라 상인들의 왕래가 많았을 때의 사실을 노래한 「[[예성강곡(禮成江曲)]]」, 고려의 화원 [[이녕]](李寧)이 사신을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 휘종(徽宗)의 요청으로 그린 「[[예성강도(禮成江圖)]]」 등 예성강에서 영감을 얻은 예술 작품들이 다수 존재했다.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br/>
 
현재 근방에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락리어름치, 쉬리산란지(제187호), 구락리자라서식지(제186호)가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4번째 줄: 31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금곡포]] || [[예성강]]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벽란도]] || [[예성강]]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벽란도]] || [[예성강]]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2017년 8월 21일 (월) 22:27 판

벽란도(碧瀾渡)
대표명칭 벽란도
한자표기 碧瀾渡
이칭 예성항
주소 경기도 개풍군 서면
관련장소 예성강


정의

고려 시대 예성강 하류에 위치해 있었던 고려 때의 국제 무역항.[1]

내용

근처 언덕에 있었던 벽란정(碧瀾亭)이라는 관사(館舍)의 이름을 따 벽란도라고 불렀다. 중국 송나라의 사신 일행이 도착하였을 때와 떠나기 전에 벽란정에서 묵었다고 한다. 이전에는 예성강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예성항(禮成港)이라 불렀다.[2]

고려 시대

물이 깊어 선박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으며 고려 시대의 국도(國都)였던 개성과 가까이 위치하였던 관계로 벽란도는 고려 시대 제일의 하항이자 실질적인 유일의 국제 항구로서 발전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중국의 송나라 상인뿐만 아니라 일본을 비롯하여 멀리 남양지방(南洋地方)과 서역지방(西域地方)의 해상들까지 자주 드나들며 교역을 하였던 곳이다.
따라서 국제적인 교역뿐만 아니라 외국으로 나가거나 국내로 들어오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고려의 관문적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국내에서 벽란도는 국도인 개성으로 가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나루터였다. 특히, 육로로 중국에서 오는 도로상에 있어 통행인도 많았던 교통의 요지였다.[3]

고려 시대 이후

고려 시대에 중요한 무역항이며 국제항이자 교통의 요지였던 벽란도의 기능은 조선시대에 들면서 점차 그 역할이 감소되었다. 더구나 철도교통을 비롯하여 육상교통이 발달하고 다른 항구들이 개항을 하게 되자 그 역할은 더욱 축소되었으며 마침내는 그 역할을 거의 상실하였다. 그러나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던 곳이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벽란도 예성강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박성환-예성강도 예성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성환-예성강도 벽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예성강도 예성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예성강곡 예성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예성강도 이녕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벽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벽란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벽란도",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벽란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