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의천의 두 탑비) |
(→참고문헌) |
||
122번째 줄: | 122번째 줄: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분류:국가지정문화재]] | [[분류:국가지정문화재]] | ||
− | [[분류:보물]] [[분류:승탑/ | + | [[분류:보물]]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8월 21일 (월) 11:26 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
|
대표명칭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Daegak at Seonbongsa Temple, Chilgok |
한자 |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산로 275-209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251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임존(林存) |
서자 | 덕린(德麟) |
각자 | 대지(大智), 덕천(德遷)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의천(義天) |
건립연대 | 1137년 |
|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僊鳳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의 탑비.
내용
개요
고려시대 천태종(天台宗)의 창시자인 대각국사 의천을 기리기 위한 비로, 1131년(인종 9)에 비문이 찬술(撰述)[1]되었고 1137년(인종 15)에 건립되었다.[2]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 임존(林存)이 짓고 덕린(德麟)이 글씨를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3]
정주영 ☞ 찬술이 어떤 의미인가요? 찬술 (纂述)은 Editing이고, 찬술 (撰述)은 writing이네요. 내용을 모르니까 확신이 안서요.
(정주영)
높이는 3.54m로,[4]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는 없고, 직사각형의 대좌 위에 비신을 안치하여 그 위에 옥개석형 덮개돌을 올렸다. 이러한 형태의 고승 탑비 중에는 시기가 가장 앞서는 것이다.[5]
임진왜란 때 선봉사(僊鳳寺)가 소실된 이후 땅속에 묻혔다가 1922년 무렵에 발견되었으며,[6] 비신 앞면의 중단과 하단에 보이는 원형의 파손 형태는 한국전쟁 때 생긴 총알자국이라고 알려져 있다.[7]
1963년에 보물 제251호로 지정되었다.[8]
비문
상단에 전서(篆書)로 새겨진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이 있고,[9] 제액 양 옆은 각각 한 마리씩의 봉황과 구름 무늬를 새겼다.[10]
비신의 앞면에는 대각국사의 생애와 송나라 유학을 통한 구법 활동 및 천태종(天台宗)을 확립하는 과정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으며,[11] 뒷면에는 천태종의 개창 과정 및 이 비의 건립 과정, 그리고 대각국사의 천태종 주요 제자 및 그 문도들의 명단이 계파별로 나뉘어 기록되어 있다.[12]
비문 보러가기 |
• "선봉사대각국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5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
의천의 두 탑비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의 생애를 기리는 탑비는 선봉사(僊鳳寺) 터에서 발견된 것 외에 개성 영통사(靈通寺)에서 발견된 탑비가 있다.
한 사람의 승려에 대하여 두 개의 비가 전해지는 것은 대각국사의 종교적 관심과 활동이 다른 승려들과 달리 서로 다른 두 개의 종파에 걸쳐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전하는 비도 각기 원래 대각국사가 출가하고 활동한 교단인 화엄종(華嚴宗)과 그가 개창한 천태종(天台宗)의 문도들이 각기 건립한 것이며,[13] 이 두 탑비는 건립 주체에 따라 비문의 내용이 어떻게 다른 지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자료이다.[14]
영통사비는 대각국사의 입적으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이후에 완성되었는데, 이 비는 화엄종 사찰인 영통사에 위치하였을 뿐 아니라 비 음기(陰記)[15]의 대각국사 문도 명단에도 화엄종 승려들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선봉사에 별도의 대각국사비를 건립한 것은 대각국사의 문도들 중 천태종 승려들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었다.[16]
대각국사의 입적 후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하지 못했던 천태종계 문도들은 이 선봉사비의 건립 이후 선봉사를 거점으로 하여 세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7] 또한 선봉사는 임진왜란 이후 완전히 소실되어 역사에서 사라질 뻔하였으나, 대각국사비가 발견됨으로써 지금까지 명맥을 이어올 수 있었다. 왕의 아들인 대각국사가 입적하자 국가적인 사업으로 대각국사비를 이 자리에 세운 것은 선봉사가 과거 대찰이었으며 선승들의 이름난 수행처였음을 나타낸다.[18]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의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의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칠곡 선봉사 | A는 B에 있다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임존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1131년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덕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대지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덕천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천태종 | A는 B와 관련있다 |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화엄종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137년 |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를 기리기 위하여 칠곡 선봉사(漆谷 僊鳳寺)에 대각국사비가 건립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책이나 글을 지음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5쪽.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7쪽.
-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9쪽.
- ↑ "영통사대각국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비석의 등 뒤에 새긴 글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선봉사(칠곡)",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선봉사 대각국사비 전면",
『조선총독부 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선봉사 대각국사비 배면",
『조선총독부 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사진출처: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온라인 참조: "영통사대각국사비",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4-21쪽.
- 최기표, 「僊鳳寺 大覺國師碑의 의문점」, 『불교학 리뷰』 Vol.3,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8, 89-103쪽.
-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7-55쪽.
- 최연식, 「선봉사 대각국사비」,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한국국학진흥원, 2014, 36-5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3: 고려7 비문7",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8 - 팔공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선봉사 대각국사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적총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선봉사대각국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