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서문중01 문화재청.jpg |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서문중01 문화재청.jpg | ||
− | |사진출처= 문화재청 | + | |사진출처= 문화재청(http://www.cha.go.kr/) |
|대표명칭= 서문중 | |대표명칭= 서문중 | ||
|한자표기= 徐文重 | |한자표기= 徐文重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신으로 [[노론]]이었으나 [[소론]]과 입장을 같이 하기도 했다. 군사제도와 운영에 박식하여 병서를 저술하였고, 기근 구제에 공이 있었다. | + |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신으로 [[노론]]이었으나 [[소론]]과 입장을 같이 하기도 했다. 군사제도와 운영에 박식하여 병서를 저술하였고, 기근 구제에 공이 있었다. [[종묘의궤|『종묘의궤』]] 도제조, [[금보개조도감의궤|『금보개조도감의궤』]] 도제조<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089&hl=title@%EF%A4%8A%E5%AF%B6%E6%94%B9%E9%80%A0%E9%83%BD%E7%9B%A3%E5%84%80%E8%BB%8C$orgtitle@%EF%A4%8A%E5%AF%B6%E6%94%B9%E9%80%A0%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A%B8%88%EB%B3%B4%EA%B0%9C%EC%A1%B0%EB%8F%84%EA%B0%90%EC%9D%98%EA%B6%A4%5E%EF%A4%8A%E5%AF%B6%E6%94%B9%E9%80%A0%E9%83%BD%E7%9B%A3%E5%84%80%E8%BB%8C 금보개조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도제조<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090&hl=title@%EF%A4%8A%E5%AF%B6%E6%94%B9%E9%80%A0%E9%83%BD%E7%9B%A3%E8%BF%BD%E8%A3%9C%E5%84%80%E8%BB%8C$tablename@_%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haeje%5Euig_seoji$kname@%EA%B8%88%EB%B3%B4%EA%B0%9C%EC%A1%B0%EB%8F%84%EA%B0%90%EC%B6%94%EB%B3%B4%EC%9D%98%EA%B6%A4%5E%EF%A4%8A%E5%AF%B6%E6%94%B9%E9%80%A0%E9%83%BD%E7%9B%A3%E8%BF%BD%E8%A3%9C%E5%84%80%E8%BB%8C 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를 역임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4178&cid=46622&categoryId=46622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내용'''== | =='''내용'''== | ||
===관직=== | ===관직=== | ||
− |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을 지냈으며 1680년(숙종 6)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다음해 광주부윤이 되었다. 승지, 경상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참판 겸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하였고, 1687년(숙종 13) 형조판서 겸 종묘와 빙고의 제조를 지냈고 다음해에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여 금천에 퇴거했으나 남인의 탄핵을 받아 안변부사로 밀려났다. 다음해에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오고 경주부윤, 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1694년(숙종 20)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남인 처벌에 온건한 경향이 있어 탄핵되었다. [[소론]] [[박세채|박세채(朴世采)]]의 도움으로 1696년 훈련대장,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1698년 우의정, 다음해에 좌의정, 그 다음해에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기로소(耆老所)]]<ref> | + |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을 지냈으며 1680년(숙종 6)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다음해 광주부윤이 되었다. 승지, 경상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참판 겸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하였고, 1687년(숙종 13) 형조판서 겸 종묘와 빙고의 제조를 지냈고 다음해에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여 금천에 퇴거했으나 남인의 탄핵을 받아 안변부사로 밀려났다. 다음해에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오고 경주부윤, 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1694년(숙종 20)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남인 처벌에 온건한 경향이 있어 탄핵되었다. [[소론]] [[박세채|박세채(朴世采)]]의 도움으로 1696년 훈련대장,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1698년 우의정, 다음해에 좌의정, 그 다음해에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기로소(耆老所)]]<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1260&cid=46622&categoryId=46622 기로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 에 들어갔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4178&cid=46622&categoryId=46622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학문=== | ===학문=== | ||
− | 군사제도와 운영에 관심이 많았으며 역사에 정통했다.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지리ㆍ군사서적인 | + | 군사제도와 운영에 관심이 많았으며 역사에 정통했다.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지리ㆍ군사서적인 [[해방지|『해방지(海防誌)』]]를 저술하였으며 정승으로 재직할 때 [[군국총부|『군국총부』]]를 저술했다. 조선시대의 고사를 엮어 [[조야기문|『조야기문(朝野記聞)』]], [[상제례가범|『상제례가범(喪祭禮家範)』]], [[역대재상연표|『역대재상연표(歷代宰相年表)』]], [[국조대신연표|『국조대신연표(國朝大臣年表)』]], [[병가승산|『병가승산(兵家勝算)』]], [[동인시화|『동인시화(東人詩話)』]] 등의 저서를 남겼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4178&cid=46622&categoryId=46622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사후=== | ===사후=== | ||
− | 파주시 군내면에 묘가 있으며, 1736년(영조 12) 시호를 받았다.<ref>『영조실록』 42권, 영조 12년 12월 2일 신유 | + | 파주시 군내면에 묘가 있으며, 1736년(영조 12) 시호를 받았다.<ref>『영조실록』 42권, 영조 12년(1736) 12월 2일(신유), [http://sillok.history.go.kr/id/kua_11212002_004 고 영의정 서문중에게 공숙·좌찬성 박진에게 의열이라는 시호 등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8번째 줄: | 4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서문중 || [[종묘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서정리]]|| | + | | [[서정리]] || 서문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이시발]]|| | + | | [[이시발]] || 서문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경주 이씨]]|| | + | | [[경주 이씨]] || 서문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서원리]]|| | + | | [[서원리]] || 서문중||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이후산]] || 서문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서문중|| [[용인 이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 | | 서문중 || [[서종보]]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서문중 || [[서종예]]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서문중 || [[서종유]]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706년 || 서문중는 [[종묘의궤]]를 담당하였다 | ||
+ |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74번째 줄: | 82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서문중02 문화재청.jpg|서문중 초상화 담아두는 함.<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2,18980000,31&imgfname=2016050316173400.jpg&dirname=treasure&photoname=%EB%B3%B4%EB%AC%BC%20%EC%A0%9C1898%ED%98%B8%20%EC%84%9C%EB%AC%B8%EC%A4%91%20%EC%B4%88%EC%83%81%20%EB%B0%8F%20%ED%95%A8&photoid=3405953 문화재청 서문중 초상화]",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gallery> |
− | |||
− | </gallery> | ||
===영상=== | ===영상=== | ||
89번째 줄: | 95번째 줄: | ||
* 『숙종실록보궐정오』 | * 『숙종실록보궐정오』 | ||
* 『한국계행보』 | * 『한국계행보』 | ||
− |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http://blog.daum.net/kjr1490/2368 서문중 묘소 | + | * "[http://blog.daum.net/kjr1490/2368 서문중 묘소 가는 길]", 블로그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다음.</ref>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
2017년 10월 8일 (일) 21:58 판
서문중(徐文重) | |
대표명칭 | 서문중 |
---|---|
한자표기 | 徐文重 |
생몰년 | 1634년-1709년 |
본관 | 달성(達城) |
시호 | 공숙(恭肅) |
호 | 몽어정(夢漁亭) |
자 | 도윤(道潤)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조야기문』, 『군국총부』 |
대표직함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판중추부사, 병조판서 |
배우자 | 형조참판 이후산의 딸 용인 이씨 |
부 | 남원부사 서정리 |
모 | 형조판서 이시발의 딸 경주 이씨 |
자녀 | 서종보, 진사 서종예, 백천군수 서종유 |
능묘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
성격 | 인물 |
유형 | 백관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신으로 노론이었으나 소론과 입장을 같이 하기도 했다. 군사제도와 운영에 박식하여 병서를 저술하였고, 기근 구제에 공이 있었다. 『종묘의궤』 도제조, 『금보개조도감의궤』 도제조[1], 『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도제조[2]를 역임하였다.[3]
내용
관직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을 지냈으며 1680년(숙종 6)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다음해 광주부윤이 되었다. 승지, 경상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참판 겸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하였고, 1687년(숙종 13) 형조판서 겸 종묘와 빙고의 제조를 지냈고 다음해에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여 금천에 퇴거했으나 남인의 탄핵을 받아 안변부사로 밀려났다. 다음해에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오고 경주부윤, 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1694년(숙종 20)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남인 처벌에 온건한 경향이 있어 탄핵되었다. 소론 박세채(朴世采)의 도움으로 1696년 훈련대장,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1698년 우의정, 다음해에 좌의정, 그 다음해에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耆老所)[4] 에 들어갔다.[5]
학문
군사제도와 운영에 관심이 많았으며 역사에 정통했다.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지리ㆍ군사서적인 『해방지(海防誌)』를 저술하였으며 정승으로 재직할 때 『군국총부』를 저술했다. 조선시대의 고사를 엮어 『조야기문(朝野記聞)』, 『상제례가범(喪祭禮家範)』, 『역대재상연표(歷代宰相年表)』, 『국조대신연표(國朝大臣年表)』, 『병가승산(兵家勝算)』, 『동인시화(東人詩話)』 등의 저서를 남겼다.[6]
사후
파주시 군내면에 묘가 있으며, 1736년(영조 12) 시호를 받았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서문중 | 종묘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정리 | 서문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시발 | 서문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주 이씨 | 서문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서원리 | 서문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후산 | 서문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문중 | 용인 이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서문중 | 서종보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서문중 | 서종예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서문중 | 서종유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06년 | 서문중는 종묘의궤를 담당하였다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서문중 초상화 담아두는 함.[8]
영상
주석
- ↑ 금보개조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기로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서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영조실록』 42권, 영조 12년(1736) 12월 2일(신유), 고 영의정 서문중에게 공숙·좌찬성 박진에게 의열이라는 시호 등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문화재청 서문중 초상화",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현종실록』
- 『숙종실록』
- 『숙종실록보궐정오』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서문중 묘소 가는 길", 블로그 검색,
『다음 블로그』online , 다음.</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