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책조성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관서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보책조성소 |한자표기= 寶冊造成所 |이칭별칭= |설치폐지= 1897년 9월-미상 |주요업무= 『고종대...)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 | [[분류: | + | [[분류:단체]] |
2017년 8월 18일 (금) 23:17 판
목차
정의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선포 때 사용했던 책문(冊文)과 금보(金寶)를 제작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기구이다.
내용
업무
1897년(고종 34) 고종이 황제등극례에 사용할 책문과 금보를 제작하기 위하여 10월 4일 보책조성소가 설치되었다.[1] 10월 12일 고종이 환구단(圜丘壇)에서 황제 즉위식을 하고 황후와 황태자를 책봉했다.[2] 황제 즉위식을 한 뒤에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종묘(宗廟)ㆍ영희전(永禧殿)ㆍ경기전(慶基殿)ㆍ선원전(璿源殿)ㆍ화령전(華寧殿) 등의 그릇과 의식을 황제의 예에 맞게 고쳤다.[3] 보책조성소에서는 이상의 행사를 모두 『고종대례의궤』로 작성하여 보관하였다. 『고종대례의궤』는 9책을 제작하여 네 곳의 사고(史庫)와 규장각(奎章閣)ㆍ시강원(侍講院)ㆍ비서원(秘書院)ㆍ장례원(掌禮院)ㆍ환구단에 전달하였는데 지금 9책이 모두 남아 있다.[4]
구성
인원은 도제조 1인, 제조 3인, 낭청 3인, 별감동 8인, 서제 3인, 사환 6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종대례의궤 | 보책조성소 | A는 B에서 담당하였다 | |
황제등극례 | 보책조성소 | A는 B에서 담당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97년 9월 | 보책조성소는 황제등극의례를 담당하였다 |
1898년 | 보책조성소는 고종대례의궤를 편찬하였다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3쪽.
- ↑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7-228쪽.
- ↑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9-233쪽.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735쪽.
- ↑ 『高宗大禮儀軌』, 「座目」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高宗大禮儀軌』
-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