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내용)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 +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9년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8월 16일 (수) 21:58 판
이삼(李森) | |
대표명칭 | 이삼 |
---|---|
한자표기 | 李森 |
생몰년 |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
본관 | 함평(咸平) |
자 | 원백(遠伯)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관서절요(關西節要) |
부 | 이사길(李師吉) |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1]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2] 1725년(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3] 1729년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삼 공신도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
이삼 초상(전신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고순영, "이삼",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재룡, "이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