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
파일:초상화 광개토대왕 표준영정.png|[[고구려 광개토대왕|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년 지정) | 파일:초상화 광개토대왕 표준영정.png|[[고구려 광개토대왕|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년 지정) | ||
파일:초상화 광개토대왕 길림성고분01.jpg|삼실총 벽화에 묘사된 고구려 무사 | 파일:초상화 광개토대왕 길림성고분01.jpg|삼실총 벽화에 묘사된 고구려 무사 |
2017년 8월 16일 (수) 15:01 판
광개토대왕 영정 | |
한자명칭 | 廣開土大王 影幀 |
---|---|
작가 | 이종상 |
제작시기 | 1977년 |
소장처 | 국립현대미술관 |
유형 | 표준영정 |
크기(세로×가로) | 183×?㎝ |
목차
정의
고구려 제19대 왕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412/413년)[1]의 표준영정.
내용
일랑 이종상(一浪 李鍾祥, 1938년-)이 그렸고 1977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주도로 제작된 표준영정
영정동상심의위원회에서 선정한 작가 이종상이 그린 다섯 점의 표준영정 중 하나이다. 각각 우륵 표준영정, 광개토대왕 표준영정, 원효 표준영정, 장보고 표준영정, 김홍도 표준영정이다. 이 중 광개토대왕 영정을 제외하면 모두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이며, 인물의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2]
고증과 해석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끈 광개토대왕의 모습을 현대에 상상하여 그린 것으로, 현재 남아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 벽화, 그림 등을 통해 고증을 거쳤다.
그러나 당대의 복식을 완벽히 재현하였다기보다는 작가적 상상력이 허용된 부분도 많다. 이는 같은 1970년대에 제작되었으면서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그려진 김유신 표준영정, 양만춘 표준영정 등도 마찬가지이다. 역사 연구가 축적되지 않았을 뿐더러,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 무인의 옷을 입은 십이지상이나 불교의 도상에 익숙했기 때문이다.[3]
왼쪽의 그림은 삼실총에서 발견된 기마전을 하는 고구려 무사의 모습, 오른쪽의 그림은 통구12호분에서 발견된 적을 참수하는 고구려 무사의 모습이다. 투구의 날개 모양 복발과 갑옷의 비늘, 어깨까지 내려오는 붉은 끈 등에서 표준영정과의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왕임에도 불구하고 완전 무장을 갖춘 장군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고구려 왕의 복식을 재현할 만한 자료가 충분히 발굴되지 못한 상황에서 광개토대왕의 정복군주로서의 면모를 강조하기 위하여 귀족의 복식보다는 기병, 장수의 복식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족기록화에서의 묘사
한편 같은 이종상 화백이 1975년에 그린 민족기록화 작품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에 묘사된 광개토대왕의 모습은 갑옷을 덮은 붉은 가죽, 팔뚝 부분의 색깔 등을 제외하면 표준영정에 묘사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 | 국립현대미술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이종상 |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 | A는 B를 제작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7년 |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 초상화 광개토대왕 표준영정.png
광개토대왕 표준영정(1977년 지정)
주석
- ↑ 광개토대왕릉비에 따르면 412년, 삼국사기에 따르면 413년이다.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5쪽.
- ↑ 조은정, 「표준영정에 대한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제15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255쪽.
- ↑ 킴튼, "기마전을 하는 고구려 무사-길림성 집안 삼실총",
『네이버 카페 - 재현고 킴튼 선생의 카페』online , 작성일: 2006년 06월 19일.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107쪽.
참고문헌
- 웹자원
- "광개토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광개토대왕",
『두피디아』online , 두산백과. - "고구려시대 안악3호분의 갑옷을 입은 기병",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광개토왕",
- 신문
- "영정 인물의 저서 읽고, 후손들 만나 용모 분석하고②", 『프리미엄조선』, 2015년 9월 19일.
- "광개토대왕을 10만 원권 지폐에 새기자", 『노컷뉴스』, 2007년 1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