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주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용신분)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별칭=  
 
|이칭별칭=  
 
|구분= 관 및 쓰개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문무백관]]
+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당상관이 [[백관의 융복|융복]]에 착용한 붉은 색의 [[갓]]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50쪽.</ref>
+
[[백관]] 중 3품 이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4579&cid=46622&categoryId=46622 당상관]이 왕의 행차를 수행할 때나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 등의 복장인 [[백관의 융복]]에 착용하는 붉은 색의 [[갓]]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50쪽.</ref>
  
 
=='''내용'''==
 
=='''내용'''==
===복식 세부===
+
기본적인 형태는 [[갓|흑립(갓)]]과 같은데 붉은 색을 띄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680&cid=46671&categoryId=46671 입식](笠飾)으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16973&cid=51293&categoryId=51293 호수](虎鬚)를 꽂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1139&cid=51293&categoryId=51293 정자](頂子)를 장식하고 홍색과 황색의 구슬을 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7020&cid=51293&categoryId=51293 패영](貝纓)을 드리워 화려하게 꾸몄다. [[주립]]은 자립(紫笠)과 형태나 기능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영조]]대에 [[속대전|『속대전(續大典)』]]에는 자립(紫笠)<ref>『續大典』 卷3 「禮典」 '儀章條' "당상 3품 이상은 융복에 남색 철릭과 함께 자립(紫笠)에 패영을 한다."</ref>  [[대전회통|『대전회통(大典會通)』」」에는 '자립(紫笠)과 칠사립(漆紗笠)'이 함께 기록되어 있고, [[고종]]대에는 칠사립(漆紗笠)<ref> 『高宗實錄』 1권, 고종 1년 7월 10일, 무신 1번째기사, 대왕대비가 조정 관리의 군복 차림을 얇은 비단에 옻칠한 갓으로 정하도록 명하다‘, "조신(朝臣)의 융복에 착용하던 호수, 주립, 패영을 없애고 그 대신 칠사립(漆紗笠)으로 한다.(朝臣戎服, 帖裏則依舊隨品爲之, 虎鬚、朱笠、貝纓永除, 以漆紗笠磨鍊)" <ref>으로 기록되어 있어 자립이 [[주립]]으로 변했음을 추정하고 있다. 조선 말기에는 [[무녀|무녀(巫女)]]가 군복이나 융복차림에 [[주립]]을 착용한 예도 나타나는데, 이는 무인(武人)적군을 물리쳐야 하듯이 무녀는 병이나 악귀와 싸워 물리쳐야 하므로 무녀들의 차림이 무인의 복식과 유사한 것에서 연유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50~651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550px>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주립(민박).jpg|무관의 주립.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gallery>
 
 
 
===착용신분===
 
[[백관]] 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4579&cid=46622&categoryId=46622 당상관]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왕의 행차를 수행할 때나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 등의 복장인 [[백관의 융복|융복]]에 착용하는 대표적인 쓰개이다.
 
 
 
===형태===
 
기본적인 형태는 [[갓|흑립(갓)]]과 같은데 붉은 색을 띄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680&cid=46671&categoryId=46671 입식](笠飾)으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16973&cid=51293&categoryId=51293 호수](虎鬚)를 꽂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1139&cid=51293&categoryId=51293 정자](頂子)를 장식하고 홍색과 황색의 구슬을 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7020&cid=51293&categoryId=51293 패영](貝纓)을 드리워 화려하게 꾸몄다.
 
 
 
===기타===
 
주립은 자립과 형태나 기능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영조(1694~1776년)대에 간행된 『속대전(續大典)』권3 「예전」 '의장조'에는 "당상 3품 이상은 융복에 남색 철릭과 함께 자립(紫笠)에 패영을 한다." 하였고 『대전회통(大典會通)』에는 '자립과 칠사립'이 함께 기록되어 있는데 『고종실록(高宗實錄)』 원년(1864) 7월에는 "조신(朝臣)의 융복에 착용하던 호수, 주립, 패영을 없애고 그 대신 칠사립(漆紗笠)으로 한다." 하여 자립이 주립으로 바뀌어 기록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조선말에는 무녀(巫女)가 군복이나 융복차림에 주립을 착용한 예도 나타나는데, 이는 무인(武人)이 적군을 물리쳐야 하듯이 무녀는 병이나 악귀와 싸워 물리쳐야 하므로 무녀들의 차림이 무인의 복식과 유사한 경향이 있는 데에 연유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50~651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 '''{{PAGENAME}}''' || [[문무백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백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 [[백관의 융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48번째 줄: 33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550px>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주립(민박).jpg|무관의 주립.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硏究-男子 便服 冠帽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vol.1, 한국복식학회, 1977.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 李賢淑, 『朝鮮時代의 戎服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0.
 +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 張淑煥, 「朝鮮後期 笠飾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 장숙환, 「조선후기 笠飾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3,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 趙孝順, 「正祖의 顯隆園 幸次時의 宮中儀禮服飾考-「整理儀軌」를中心으로-」,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4일 (월) 01:17 판


주립
(朱笠)
대표명칭 주립
한자표기 朱笠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백관 중 3품 이상 당상관이 왕의 행차를 수행할 때나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될 때 등의 복장인 백관의 융복에 착용하는 붉은 색의 이다.[1]

내용

기본적인 형태는 흑립(갓)과 같은데 붉은 색을 띄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입식(笠飾)으로 호수(虎鬚)를 꽂고, 정자(頂子)를 장식하고 홍색과 황색의 구슬을 꿴 패영(貝纓)을 드리워 화려하게 꾸몄다. 주립은 자립(紫笠)과 형태나 기능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영조대에 『속대전(續大典)』에는 자립(紫笠)[2] [[대전회통|『대전회통(大典會通)』」」에는 '자립(紫笠)과 칠사립(漆紗笠)'이 함께 기록되어 있고, 고종대에는 칠사립(漆紗笠)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주립 백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백관의 융복 주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주립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50쪽.
  2. 『續大典』 卷3 「禮典」 '儀章條' "당상 3품 이상은 융복에 남색 철릭과 함께 자립(紫笠)에 패영을 한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硏究-男子 便服 冠帽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vol.1, 한국복식학회, 1977.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李賢淑, 『朝鮮時代의 戎服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0.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張淑煥, 「朝鮮後期 笠飾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장숙환, 「조선후기 笠飾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3,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趙孝順, 「正祖의 顯隆園 幸次時의 宮中儀禮服飾考-「整理儀軌」를中心으로-」,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