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총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물품정보 | {{물품정보 | ||
|사진=한글팀 사전총통 01 메인모델.JPG | |사진=한글팀 사전총통 01 메인모델.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939 사전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표명칭=사전총통 | |대표명칭=사전총통 | ||
|한자표기=四箭銃筒 | |한자표기=四箭銃筒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이칭= | |이칭= | ||
− | |유형= | + | |유형=물품 |
|시대=조선시대 | |시대=조선시대 | ||
|용도=무기 | |용도=무기 | ||
− | |관련인물= | +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 | }}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사용된 화기. |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사용된 화기. | ||
=='''내용'''== | =='''내용'''== | ||
− | + | [[사전총통]]은 조선 전기에서 중기까지 사용된 화기로, 철환 형태의 발사체가 아닌 [[차세전]]이란 목재 화살 4발을 쏠 수 있었다. 1447년(세종 29)에 이 무기가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주로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방어하는데 쓰였다. | |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1022_003# 총통위에서 총통을 쏘고 장을 익히고 후를 쏘는 것에 도를 주도록 의정부에서 아뢰다]", 『세종실록』 권111, 세종 28년(1446) 1월 22일 경인 3번째 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2801022_003# 총통위에서 총통을 쏘고 장을 익히고 후를 쏘는 것에 도를 주도록 의정부에서 아뢰다]", 『세종실록』 권111, 세종 28년(1446) 1월 22일 경인 3번째 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ref> | </ref> | ||
60번째 줄: | 60번째 줄: | ||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939 사전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939 사전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ref> | </ref> | ||
− | 이들의 발사체는 [[차중전]], [[차세전]] 이렇게 나누어지는데 크기가 큰 [[차중전]]은 [[삼총통]]에서 사용되고, | + | 이들의 발사체는 [[차중전]], [[차세전]] 이렇게 나누어지는데 크기가 큰 [[차중전]]은 [[삼총통]]에서 사용되고, [[사전총통]] 과 [[팔전총통]]은 크기가 작은 [[차세전]]을 사용한다. [[차세전]]은 길이가 19.3cm 이고 둘레가 2.3cm 이며, 대나무 깃대 앞에 쇠촉을 붙이고 뒷부분은 새털로 만든 날개를 붙혔다. |
<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160 차세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160 차세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ref> | </ref>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화포식언해]]|| | + | |[[화포식언해]]||[[사전총통]]||A는 B를 언급했다|| |
|- | |- | ||
− | | | + | |[[사전총통]]||[[차세전]]||A는 B를 사용한다|| |
|- | |- | ||
|[[팔전총통]]||[[차세전]]||A는 B를 사용한다|| | |[[팔전총통]]||[[차세전]]||A는 B를 사용한다|| | ||
93번째 줄: | 93번째 줄: |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기류>』, 국립민속박물관, 2003.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기류>』, 국립민속박물관, 2003.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 |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939 사전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160 차세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분류: 한글고문서]]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물품]] | + | [[분류:물품]] |
[[분류:이창섭]] | [[분류:이창섭]] |
2017년 10월 5일 (목) 23:46 판
사전총통(四箭銃筒) | |
대표명칭 | 사전총통 |
---|---|
한자표기 | 四箭銃筒 |
유형 | 물품 |
시대 | 조선시대 |
용도 | 무기 |
정의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사용된 화기.
내용
사전총통은 조선 전기에서 중기까지 사용된 화기로, 철환 형태의 발사체가 아닌 차세전이란 목재 화살 4발을 쏠 수 있었다. 1447년(세종 29)에 이 무기가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주로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방어하는데 쓰였다. [1] 이 총통은 철제가 아닌 청통제로 되어 있으며, 통신(筒身)과 약실(藥室), 자루로 구성되었다. 통신에는 3개의 죽절이 있으며 약실도 전후에 한개씩 죽절이 있다. 유사한 총통으론 삼총통(三銃筒), 팔전총통(八箭銃筒) 등이 있다. [2] 이들의 발사체는 차중전, 차세전 이렇게 나누어지는데 크기가 큰 차중전은 삼총통에서 사용되고, 사전총통 과 팔전총통은 크기가 작은 차세전을 사용한다. 차세전은 길이가 19.3cm 이고 둘레가 2.3cm 이며, 대나무 깃대 앞에 쇠촉을 붙이고 뒷부분은 새털로 만든 날개를 붙혔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화포식언해 | 사전총통 | A는 B를 언급했다 | |
사전총통 | 차세전 | A는 B를 사용한다 | |
팔전총통 | 차세전 | A는 B를 사용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총통위에서 총통을 쏘고 장을 익히고 후를 쏘는 것에 도를 주도록 의정부에서 아뢰다", 『세종실록』 권111, 세종 28년(1446) 1월 22일 경인 3번째 기사 ,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강칠, 사전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채연석, 차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출처/전거
- 사료
- 『세종실록』 권111, 세종 28년(1446) 1월 22일 경인 3번째 기사 ,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실록』 권111, 세종 28년(1446) 1월 22일 경인 3번째 기사 ,
더 읽을거리
- 참고문헌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기류>』, 국립민속박물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