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4세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 중서사 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 생원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고,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하였다. 1353년(공민왕 2) 괴과(魁科)에 들었으며,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된 후 원나라에 들어가 다시 문과에 급제하고, 한림지제고(翰林知制誥)가 되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자 성균관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金九容) | + | 14세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 중서사 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 생원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고,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하였다. 135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2) 괴과(魁科)에 들었으며,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된 후 원나라에 들어가 다시 문과에 급제하고, 한림지제고(翰林知制誥)가 되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자 성균관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김구용(金九容)]]·[[정몽주|정몽주(鄭夢周)]]·[[이숭인|이숭인(李崇仁)]] 등과 강론하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849&cid=40942&categoryId=33382 이색]",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정몽주]]가 피살되자 관련되어 다시 금천(金川)ㆍ여흥(驪興)ㆍ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조선 태조|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1395년([[조선 태조|태조]] 4) 한산백(韓山佰)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의 사대부(士大夫)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故山)에 파묻을 뿐이라 하였다. 다음해 피서차 여강(驪江)으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했으므로 그 사인(死因)에 대하여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이색의 문하에는 [[권근|권근(權近)]]ㆍ[[김종직|김종직(金宗直)]]ㆍ[[변계량|변계량(卞季良)]]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었으며 고려 말에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7월 24일 (월) 16:32 판
이색(李穡) | |
대표명칭 | 이색 |
---|---|
한자표기 | 李穡 |
생몰년 | 1328년-1396년 |
본관 | 한산(韓山) |
시호 | 문정(文靖) |
호 | 목은(牧隱) |
자 | 영숙(穎叔) |
시대 | 고려 |
대표저서 | 목은문고(牧隱文藁), 목은시고(牧隱詩藁) |
부 | 이곡(李穀) |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14세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 중서사 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 생원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고,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하였다. 1353년(공민왕 2) 괴과(魁科)에 들었으며,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된 후 원나라에 들어가 다시 문과에 급제하고, 한림지제고(翰林知制誥)가 되었다.[1]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자 성균관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金九容)·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강론하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2] 정몽주가 피살되자 관련되어 다시 금천(金川)ㆍ여흥(驪興)ㆍ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1395년(태조 4) 한산백(韓山佰)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의 사대부(士大夫)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故山)에 파묻을 뿐이라 하였다. 다음해 피서차 여강(驪江)으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했으므로 그 사인(死因)에 대하여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3]
이색의 문하에는 권근(權近)ㆍ김종직(金宗直)ㆍ변계량(卞季良)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었으며 고려 말에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색",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