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장리석-홍주성수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정의)
14번째 줄: 14번째 줄: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교열|정의|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일으킨 [[홍주성전투]]를 그린 화백 장리석의 민족기록화. |정주영}}
+
{{교열|정의|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주도한 [[홍주성전투]]를 그린 화백 장리석의 민족기록화. |정주영}}
  
 
=='''설명'''==
 
=='''설명'''==

2017년 7월 13일 (목) 17:14 판


홍주성수복
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작가 장리석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의병을 일으켜 홍주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퇴각시키고 성을 점령하였던 홍주성전투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 작품이다.


정의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한 민종식 등이 주도한 홍주성전투를 그린 화백 장리석의 민족기록화. (정주영)



설명

작품 소재

민종식이 1906년 5월 19일 일본군 헌병 부대와 일부 거류민 등에 맞선 홍주성 탈환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수성(守城)이 아닌 공성(攻城)의 현장에 걸맞게 성 내부에서 벌어지는 난전(亂戰)의 혼란을 붉은 색조로 묘사하였다. 농민 복장의 의병들이 칼 등의 병장기 뿐 아니라 곡괭이와 같은 농기구를 들고 항거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대는 식 소총과 화승총 등 화기류로 무장한 병력이 500여명, 창검과 활 등을 소지한 병력이 200여명, 나머지는 비무장이었다고 한다.

작품 배경

홍주성은 호서지방의 요충지로 고려 때부터 일본에 많은 침략을 받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성문은 동문인 조양문(朝陽門)으로 추정된다. 일본에 의해 대부분의 성곽이 허물어지고 현재는 810m정도만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진주성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리석 장리석-홍주성수복 A는 B를 그렸다 1975년
독립기념관 장리석-홍주성수복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장리석-홍주성수복 홍주성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장리석-홍주성수복 홍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민종식 홍주성전투 A는 B를 지휘하였다
민종식 홍주성 A는 B를 공격하였다 1906년 5월 19일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장리석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그렸다.
1991년 1월 31일-1992년 1월 30일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소장하고 있다.
1906년 5월 19일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군이 홍주성을 공격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61847 127.2242915 독립기념관이 장리석-홍주성수복을 소장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