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경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궁중인물정보 | {{궁중인물정보 | ||
− | |대표명칭 = 경종 | + | |사진= |
− | | | + | |사진출처= |
− | |작위명 = | + | |대표명칭= 경종 |
− | |이칭별칭 = | + | |한자표기= 景宗 |
− | |재위기간 = 1720년 6월 13일-1724년 8월 25일(음) | + | |작위명= [[왕]] |
− | |출생사망 = 1688년 10월 28일-1724년 8월 25일(음) | + | |이칭별칭= 휘 윤(昀), 자 휘서(輝瑞) |
− | |능묘 = 의릉(懿陵) [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6'12.6%22N+127%C2%B003'24.0%22E/@37.603506,127.0559638,286m/data=!3m2!1e3!4b1!4m5!3m4!1s0x0:0x0!8m2!3d37.603506!4d127.056679 37.603506, 127.0559638] | + | |재위기간= 1720년 6월 13일-1724년 8월 25일(음) |
− | |배우자 = | + | |출생사망= 1688년 10월 28일-1724년 8월 25일(음) |
− | + | |능묘=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46-20 의릉(懿陵)[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6'12.6%22N+127%C2%B003'24.0%22E/@37.603506,127.0559638,286m/data=!3m2!1e3!4b1!4m5!3m4!1s0x0:0x0!8m2!3d37.603506!4d127.056679 37.603506, 127.0559638] | |
− | |자녀 = | + | |배우자= 정비 [[단의왕후|단의왕후(端懿王后)]]<br />계비 [[선의왕후|선의왕후(宣懿王后)]] |
− | |부친 = [[숙종|숙종(肅宗)]] | + | |자녀= |
− | | | + | |부친= [[숙종|숙종(肅宗)]] |
− | |전임자 = [[숙종|숙종(肅宗)]] | + | |모 = 희빈 장씨(禧嬪 張氏) [[장옥정|장옥정(張玉貞)]] |
− | |후임자 = [[영조|영조(英祖)]] | + | |전임자= [[숙종|숙종(肅宗)]] |
+ | |후임자= [[영조|영조(英祖)]] | ||
}} | }} | ||
+ | =='''정의'''== | ||
+ | 조선의 제 20대 왕으로, [[숙종]]의 장자이며 소론(少論)을 중용했다. | ||
− | == | + | =='''내용'''== |
− | + | ===생애=== | |
+ | 1688년(숙종 14) [[소의 장씨|소의 장씨(昭儀 張氏)]]에게서 태어났다.<ref>『肅宗實錄』 14년 10월 丙寅: 「王子生」</ref> 당시는 서인(西人)과 남인(南人)의 대립이 심하였고 장씨는 남인이었으므로 [[경종]]의 탄생은 당쟁의 원인이 되었다. 이때 노론의 영수였던 [[송시열|송시열(宋時烈)]]이 [[원자|원자(元子)]]책봉이 이르다는 상소를 올렸는데, <ref>『肅宗實錄』 15년(1689) 2월 己亥: 「奉朝賀宋時烈封疏二本使家人呈之」</ref> 이로 인하여 탄핵을 받고 사사되었다.<ref>『肅宗實錄』 15년(1689) 6월 戊辰: 「引見大臣備局諸臣」</ref> [[송시열]]이 사사된 다음 해에 [[경종은 3세로 [[왕세자]]에 책봉되었다.<ref>『肅宗實錄』 16년(1689) 6월 乙亥: 「遣正使右議]]政金德遠副使禮曺判書李觀徵傳授敎命冊寶封元子爲王世」</ref> [[경종]]이 29세 때 [[숙종]]의 병세가 심해 대리청정을 명 받았는데, 이때 노론 [[김창집|김창집(金昌集)]], [[이이명|이이명(李頤命)]] 등은 [[조선 영조|연잉군(延礽君)]]을 지지하였으므로 노소당쟁이 격화되었다.<ref>『肅宗實錄補闕正誤』 43년(1717) 7월 辛未: 「命王世子聽政」</ref> 1720년(숙종 46) [[숙종]]이 죽자, [[경종]]이 [[경희궁|경덕궁(慶德宮)]]에서 즉위하였다.<ref>『景宗實錄』 즉위년(1720) 6월 戊申: 「上卽位于慶德宮」</ref> | ||
+ | [[경종]]은 즉위 초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자녀가 없었다. 이에 [[김창집]]과 [[이건명|이건명(李健命)]]의 건의로 [[조선 영조|연잉군]]을 [[왕세제|왕세제(王世弟)]]로 책봉하였고,<ref>『景宗實錄』 1년(1721) 8월 己卯: 「禮曹以延礽君旣定儲嗣」</ref> [[왕세제]]에게 대리청정을 명하라는 건의도 있었으나 대리청정은 결국 시행되지 않았다.<ref>『景宗實錄』 1년(1721) 10월 甲戌: 「領議政金昌集領中樞府事李頤命判中樞府事趙泰采左議政李健命旣令諸宰待朝來會夜宿備邊司共議代理事遂聯名上箚」</ref> 이 대리청정이 계기가 되어 노론이 [[경종]]을 시해하려 했다는 [[목호룡|목호룡(睦虎龍)]]의 고변이 일어났다.<ref>『景宗實錄』 2년(1722) 3월 任子: 「睦虎龍者上變告」</ref> [[목호룡]]의 고변은 [[신임사화]]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조태채(趙泰采)]]의 노론 4대신 등 노론 수십 명이 처형되었다.<ref>『景宗實錄』 2년(1722) 9월 癸卯: 「遣大臣告討逆于太廟」</ref> 이후 [[경종]]의 재위기간 동안 노론이 위축되었고 소론이 득세하였다. | ||
− | == | + | ===사후=== |
− | +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32길 146-20에 [[경종]]과 계비인 [[선의왕후]]의 능인 의릉(懿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 204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040000,11 서울 의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 ===거행 의례=== | ||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경종단의후가례도감의궤]]<ref>"[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930378&pos=0&total_df=1&uci=GK13092_00&sWord=%EA%B2%BD%EC%A2%85%EB%8B%A8%EC%9D%98%ED%9B%84 경종단의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f> | ||
+ | [[경종선의왕후가례도감의궤]]<ref>[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930386&pos=0&total_df=2&uci=GK13094_00&sWord=%EA%B2%BD%EC%A2%85%EC%84%A0%EC%9D%98%ED%9B%84 경종선의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 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ref>, [[경종국장도감의궤]] | ||
− | == | + | =='''지식 관계망'''==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조선 경종 || [[단의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조선 경종 || [[선의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조선 경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조선 경종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689년 1월 10일 | ||
+ | |- | ||
+ | | 조선 경종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조선 경종 || 즉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689년 1월 10일 || [[경종]]은 [[원자]]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690년 6월 16일 || [[경종]]은 [[왕세자]]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20년 6월 13일 || [[경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 | |} | ||
− | + | ===공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공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경희궁|경덕궁(慶德宮)]] || [[경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종 의릉01 문화재청.jpg|경종의 능인 의릉.<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040000,11 서울 의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gallery> | ||
− | + | ===영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참고문헌'''== |
− | [[분류: | + | ===인용 및 참조=== |
+ | * 『숙종실록』 | ||
+ | * 『숙종실록보궐정오』 | ||
+ | * 『경종실록』 | ||
+ | * 임혜련, 「숙종∼영조 년간 景宗妃 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 『한국사학보』 2016, 고려사학회, 2016. | ||
+ | * 허태용, 「『景宗實錄』과 『景宗修正實錄』의 비교를 통해서 본 老論의 정치 의리」, 『史學硏究』 112, 한국사학회 2013. | ||
+ | * 허태용, 「『景宗實錄』을 통해서 본 少論의 정치 義理 검토」, 『民族文化硏究』 6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
+ | |||
+ | ===더 읽을거리=== | ||
+ | * 오갑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808 조선 경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 | ||
+ | * 이민아,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96 조선 경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
+ | [[분류:인물]] |
2017년 9월 26일 (화) 20:19 판
경종 (景宗) |
|
대표명칭 | 경종 |
---|---|
한자표기 | 景宗 |
지위/역할 | 왕 |
이칭/별칭 | 휘 윤(昀), 자 휘서(輝瑞) |
재위기간 | 1720년 6월 13일-1724년 8월 25일(음) |
출생사망 | 1688년 10월 28일-1724년 8월 25일(음) |
능묘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46-20 의릉(懿陵)37.603506, 127.0559638 |
배우자 | 정비 단의왕후(端懿王后) 계비 선의왕후(宣懿王后) |
부친 | 숙종(肅宗) |
전임자 | 숙종(肅宗) |
후임자 | 영조(英祖) |
목차
정의
조선의 제 20대 왕으로, 숙종의 장자이며 소론(少論)을 중용했다.
내용
생애
1688년(숙종 14) 소의 장씨(昭儀 張氏)에게서 태어났다.[1] 당시는 서인(西人)과 남인(南人)의 대립이 심하였고 장씨는 남인이었으므로 경종의 탄생은 당쟁의 원인이 되었다. 이때 노론의 영수였던 송시열(宋時烈)이 원자(元子)책봉이 이르다는 상소를 올렸는데, [2] 이로 인하여 탄핵을 받고 사사되었다.[3] 송시열이 사사된 다음 해에 [[경종은 3세로 왕세자에 책봉되었다.[4] 경종이 29세 때 숙종의 병세가 심해 대리청정을 명 받았는데, 이때 노론 김창집(金昌集), 이이명(李頤命) 등은 연잉군(延礽君)을 지지하였으므로 노소당쟁이 격화되었다.[5] 1720년(숙종 46) 숙종이 죽자, 경종이 경덕궁(慶德宮)에서 즉위하였다.[6] 경종은 즉위 초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자녀가 없었다. 이에 김창집과 이건명(李健命)의 건의로 연잉군을 왕세제(王世弟)로 책봉하였고,[7] 왕세제에게 대리청정을 명하라는 건의도 있었으나 대리청정은 결국 시행되지 않았다.[8] 이 대리청정이 계기가 되어 노론이 경종을 시해하려 했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이 일어났다.[9] 목호룡의 고변은 신임사화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趙泰采)의 노론 4대신 등 노론 수십 명이 처형되었다.[10] 이후 경종의 재위기간 동안 노론이 위축되었고 소론이 득세하였다.
사후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32길 146-20에 경종과 계비인 선의왕후의 능인 의릉(懿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 204호로 지정되었다.[11]
거행 의례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경종단의후가례도감의궤[12] 경종선의왕후가례도감의궤[13], 경종국장도감의궤
지식 관계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경종 | 단의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조선 경종 | 선의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조선 경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조선 경종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689년 1월 10일 |
조선 경종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조선 경종 | 즉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89년 1월 10일 | 경종은 원자 책례를 거행하였다 |
1690년 6월 16일 | 경종은 왕세자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1720년 6월 13일 | 경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공간 | 내용 |
---|---|
경덕궁(慶德宮) | 경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 궁중기록화 인물 왕 종 의릉01 문화재청.jpg
경종의 능인 의릉.[14]
영상
주석
- ↑ 『肅宗實錄』 14년 10월 丙寅: 「王子生」
- ↑ 『肅宗實錄』 15년(1689) 2월 己亥: 「奉朝賀宋時烈封疏二本使家人呈之」
- ↑ 『肅宗實錄』 15년(1689) 6월 戊辰: 「引見大臣備局諸臣」
- ↑ 『肅宗實錄』 16년(1689) 6월 乙亥: 「遣正使右議]]政金德遠副使禮曺判書李觀徵傳授敎命冊寶封元子爲王世」
- ↑ 『肅宗實錄補闕正誤』 43년(1717) 7월 辛未: 「命王世子聽政」
- ↑ 『景宗實錄』 즉위년(1720) 6월 戊申: 「上卽位于慶德宮」
- ↑ 『景宗實錄』 1년(1721) 8월 己卯: 「禮曹以延礽君旣定儲嗣」
- ↑ 『景宗實錄』 1년(1721) 10월 甲戌: 「領議政金昌集領中樞府事李頤命判中樞府事趙泰采左議政李健命旣令諸宰待朝來會夜宿備邊司共議代理事遂聯名上箚」
- ↑ 『景宗實錄』 2년(1722) 3월 任子: 「睦虎龍者上變告」
- ↑ 『景宗實錄』 2년(1722) 9월 癸卯: 「遣大臣告討逆于太廟」
- ↑ "서울 의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경종단의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 한국학연구원』online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 경종선의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 한국학연구원』online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 "서울 의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숙종실록』
- 『숙종실록보궐정오』
- 『경종실록』
- 임혜련, 「숙종∼영조 년간 景宗妃 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 『한국사학보』 2016, 고려사학회, 2016.
- 허태용, 「『景宗實錄』과 『景宗修正實錄』의 비교를 통해서 본 老論의 정치 의리」, 『史學硏究』 112, 한국사학회 2013.
- 허태용, 「『景宗實錄』을 통해서 본 少論의 정치 義理 검토」, 『民族文化硏究』 6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