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라디오 A-50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관련물품=
 
|관련물품=
 
}}
 
}}
소 재 지 경기도 이천시 지산로 167-72 (주)LG
 
 
</nowiki>
 
</nowiki>
 
=='''정의'''==
 
=='''정의'''==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은 [[정약용|다산]]이 1812년 9월 12일 [[의순]]을 비롯한 제자들과 함께 [[월출산]]을 등반하고 [[백운동 별서정원]]에 들러 하룻밤을 유숙한 후, 1812년 9월 12일부터 22일까지 [[백운동 별서정원]]의 12경을 노래한 시를 친필로 적어 엮은 20쪽 시첩이다. [[백운동 별서정원]] 4대 동주인 [[이덕휘]]가 답례로 받었다.<br/>
+
금성사에서 제조한 우리나라 최초의 진공관식 라디오로, 1959년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설명'''==
 
=='''설명'''==
백운동 외경을 그린 [[백운동도|백운도(白雲洞圖)]]는 [[의선]]이, 그 다음장 백운동의 십이승경(十二勝景)마다 [[정약용|다산]]과 [[의순|초의]], [[윤동]]이 시를 번갈아 지었으며, 맨끝장에는 [[의순|초의]]가 그린 [[다산도|다산도(茶山圖)]]를 붙이고 그 말미에 [[윤동]]이 발문을 써서 붙였다.<br/>
+
===구성===
[[백운첩]]은 2001년에 세상에 알려졌는데, [[백운첩]]에 수록된 시 13수는 다산시문집에 누락되고 없다는데 사료적 가치가 있으며, [[백운동 별서정원]] 복원에 큰 기여를 하였다.
+
A-501이라는 명칭은 "교류(AC)를 이용하여 진공관 다섯 개로 만들어진 라디오 1호"라는 뜻이다.<br/>
 +
너비는 40cm, 폭과 높이는 각각 17cm로, 내부에 5개의 진공관과 5인치 크기의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다. 진공관, 스피커, 볼륨 조절기 등은 수입 부품을 사용하였고, 전원 스위치, 트랜스 등은 국산 부품을 사용하였다.<br/>
 +
방송 주파수 선택은 다이얼 조정 방식으로, 지역방송 및 해외방송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당시 한국의 열악한 전기 상황을 고려하여 최소 50볼트의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br/>
  
===체제와 구성===
+
===설계 및 출시===
====백운도====
+
미군 PX에서 라디오를 수리하는 '화평전업사'를 운영하던 기술자였던 [[김해수|김해수(金海洙)]]의 주도로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인 [[금성 라디오 A-501]]이 탄생하였다.<br/>
[[백운동도|「백운동도」]][[의순|초의]][[정약용|다산]]의 명에 따라 그린 것으로, [[백운동 별서정원]]의 당시 모습이 오롯이 남게 되어 [[백운동 별서정원]] 복원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
[[김해수]]는 일본 회사 산요의 최신형 라디오인 라디오 SF-78을 모델로 삼아 설계하였는데, [[락희화학공업사]]가 플라스틱 외형을 만들었고,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 회사인 [[금성사]]가 라디오 생산을 주도했다.<br/>
 +
첫해 생산량은 87대로, 백색, 민트색 등 5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고, 가격은 2만환<ref>1원=10환으로, 원단위로 환산하면 2000원이다.</ref>이었다.<br/>
  
====「백운동 이씨의 유거에 부쳐 제하다(寄題白雲洞李氏幽居)」====
+
===발전===
[[정약용]][[백운동 별서정원]] 4대 동주 [[이덕휘]]의 유거를 노래한 서시이다.
+
A-501은 일제 라디오나 미제 라디오보다는 가격이 저렴하였으나, 초기에는 불량률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그들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br/>
{{Blockquote| 백운처사 숨어 사는 유정의 괘 얻으니
+
그러나 1961년 이후 [[박정희]] 대통령이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 농어촌에 라디오 보내기 운동]]을 시작하면서 라디오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품질도 개선되어 국내시장에서 자리잡게 되었다.<br/>
임금께 헌책(獻策)함은 뜻에 맞지 않는다네.<br/><br/>
+
 
십무(十畝)의 솔과 대로 땅의 이익 거두고
+
 
반산(半山)의 누각에서 물소리를 베개 삼지.<br/><br/>
+
이 모델을 시초로 국산 부품을 주축으로 삼아 완제품 라디오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최초의 라디오로서 근대 산업 발전 및 전자 제품의 발전상, 특히 전자회로의 설계와 관련한 국산 기술의 발전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풍류는 예원진(倪元鎭)만 못함이 전혀 없고
 
명승은 고중영(顧仲瑛)에게 소문이 다 났다지.<br/><br/>
 
상자 속에 남긴 글이 그대로 남아 있어
 
훗날에도 금석 같은 그 맹세를 안 바꾸네.}}
 
  
====백운동 12경====
 
백운동의 십이승경(十二勝景)에 대한 아름다움을 담은 12수의 시로, [[정약용]]이 12경 중 8수(1경, 2경, 3경, 5경, 6경, 7경, 8경, 9경)의 시를 직접 짓고, [[의순]]이 3수(4경, 10경, 11경), 제자 [[윤동]]이 1수(12경)을 지었다.<br/>
 
'백운동 12경'의 명명이 이 시첩에서 최초로 이루어져 오늘날 [[백운동 별서정원]] 복원의 기준점을 마련해 주었다.
 
[[파일:민족기록화_문헌_백운첩_백운동도.jpg|500px|center|섬네일|[[의순|초의선사]]가 그린 「백운동도」<ref>한국레저경영연구소, "[http://blog.naver.com/leisuremgmt/220680657442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ref>]]
 
① <font color="green"><small>1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1경 옥판봉|옥판봉]] : 옥판상기(玉版爽氣), 월출산 옥판봉의 상쾌한 기운.  <br/>
 
② <font color="green"><small>2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2경 산다경|산다경]] : 유차성음(油茶成陰), 산다경(山茶徑)의 동백나무 그늘.  <br/>
 
③ <font color="green"><small>3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3경 백매오|백매오]] : 백매암향(百梅暗香), 백매오(百梅塢)의 매화향기.  <br/>
 
④ <font color="green"><small>4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4경 홍옥폭|홍옥폭]] : 풍리홍폭(楓裏紅瀑), 단풍나무의 붉은 빛이 어린 옥구슬 폭포.<br/>
 
⑤ <font color="green"><small>5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5경 유상곡수|유상곡수]] : 곡수유상(曲水流觴), 마당을 돌아 나가는 물굽이에 띄운 술잔  <br/>
 
⑥ <font color="green"><small>6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6경 창하벽|창하벽]] : 창벽염주(蒼壁染朱), 창하벽에 붉은 먹으로 쓴 글씨 <br/>
 
⑦ <font color="green"><small>7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7경 정유강|정유강]] : 유강홍린(蕤岡紅麟), 정유강(貞蕤岡)의 용비늘 같은 소나무 <br/>
 
⑧ <font color="green"><small>8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8경 모란체|모란체]] : 화계모란(花階牡丹), 꽃 계단에 심은 모란 <br/>
 
⑨ <font color="green"><small>9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9경 취미선방|취미선방]] : 십홀선방(十笏禪房), 사랭채인 취미선방(翠微禪房)의 세칸 초가 <br/>
 
⑩ <font color="green"><small>10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10경 풍단|풍단]] : 홍라보장(紅羅步障), 풍단 단풍나무의 붉은 비단 장막<br/>
 
⑪ <font color="green"><small>11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11경 정선대|정선대]] : 선대봉출(仙臺峰出), 옥판봉이 한눈에 들어오는 정선대(停仙臺)<br/>
 
⑫ <font color="green"><small>12경</small></font> [[백운동 별서정원#12경 운당원|운당원]] : 운당천운(篔簹穿雲), 운당원에 우뚝 솟은 왕대나무
 
  
====다산도====
 
[[다산도|「다산도」]]는 [[의순]]이 [[정약용|다산]]의 명에 따라 그린 것으로, [[다산초당]]의 당시 모습을 오롯이 담고있다.
 
  
====다산 발문====
 
{{Blockquote| "가경 임신년(1812) 가을, 내가 다산에서 백운동으로 놀러 갔다가 하룻밤을 자고 돌아왔다.
 
남은 미련이 오래지나도 가시지 않기에 승려 의순을 시켜서  「백운도」를 그리게 하고 이를 이어 12승사의 시를 지어서 주었다.
 
「다산도」를 붙여서 우열을 보인다. 9월 22일."}}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7월 10일 (월) 23:47 판

{{유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금성 라디오 A-501 |한자표기= |영문명칭= |이칭= |유형= 등록문화재 |시대= 현대 |지정번호= 경기도 등록문화재 제559-1호,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559-2호 |지정일= 2013년 8월 27일 |소장처= (주)LG(1호), 대한민국역사박물관(2호) |경도= |위도= |수량=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유물= |관련물품= }}

정의

금성사에서 제조한 우리나라 최초의 진공관식 라디오로, 1959년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설명

구성

A-501이라는 명칭은 "교류(AC)를 이용하여 진공관 다섯 개로 만들어진 라디오 1호"라는 뜻이다.
너비는 40cm, 폭과 높이는 각각 17cm로, 내부에 5개의 진공관과 5인치 크기의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다. 진공관, 스피커, 볼륨 조절기 등은 수입 부품을 사용하였고, 전원 스위치, 트랜스 등은 국산 부품을 사용하였다.
방송 주파수 선택은 다이얼 조정 방식으로, 지역방송 및 해외방송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당시 한국의 열악한 전기 상황을 고려하여 최소 50볼트의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설계 및 출시

미군 PX에서 라디오를 수리하는 '화평전업사'를 운영하던 기술자였던 김해수(金海洙)의 주도로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인 금성 라디오 A-501이 탄생하였다.
김해수는 일본 회사 산요의 최신형 라디오인 라디오 SF-78을 모델로 삼아 설계하였는데, 락희화학공업사가 플라스틱 외형을 만들었고,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 회사인 금성사가 라디오 생산을 주도했다.
첫해 생산량은 87대로, 백색, 민트색 등 5가지 색상으로 출시되었고, 가격은 2만환[1]이었다.

발전

A-501은 일제 라디오나 미제 라디오보다는 가격이 저렴하였으나, 초기에는 불량률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그들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1961년 이후 박정희 대통령이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 농어촌에 라디오 보내기 운동을 시작하면서 라디오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품질도 개선되어 국내시장에서 자리잡게 되었다.


이 모델을 시초로 국산 부품을 주축으로 삼아 완제품 라디오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최초의 라디오로서 근대 산업 발전 및 전자 제품의 발전상, 특히 전자회로의 설계와 관련한 국산 기술의 발전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성사 금성 라디오 A-501 A는 B를 제작하였다 1959년 11월 15일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2년 9월 12일-22일 정약용백운첩을 저술하였다
1812년 9월 12일-22일 초의백운동도를 저술하였다
1812년 9월 12일-22일 의순다산도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19353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금성 라디오 A-501의 모델이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뉴스투데이]월출산 백운동의 재발견(게시일: 2015년 4월 9일)

주석

  1. 1원=10환으로, 원단위로 환산하면 2000원이다.
  2. 한국레저경영연구소,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
  3. 여름개굴,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summerfrog...beyond』, 작성일: 2015년 08월 19일.
  4. 茶泉,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취월당 유람록』, 작성일: 2016년 03월 07일.
  5. 茶泉,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