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개념기사]]
+
{{개념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필선
 +
|한자표기= 弼善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관직
 +
|관련개념=
 +
}}
 +
=='''정의'''==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관직의 기원===
 +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恭讓王) 때 서연(書筵) 기구를 정비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이때는 4품관으로 좌·우 2원을 두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조선시대 관직의 변천===
 +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太祖) 즉위 때의 관제에서도 좌·우필선(左右弼善: 正四品)을 두었으나 1461년(세조 7) 5월에 1원으로 줄여 필선으로 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초기에는 사헌부 집의(執義: 從三品)나 사간원 사간(司諫: 從三品)이, 세종 때는 집현전 관원이 겸임하기도 했으나 경국대전 이후로는 바로 위의 관원인 보덕(輔德: 正三品 堂上) 이상만 겸임관이고 필선은 전임관(專任官)으로 만들었다. 1529년(중종 24) 다시 겸필선(兼弼善: 正四品) 1원을 증원했다. 겸필선은 속대전에 수록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관직의 주요직무===
 +
주요직무는 세자의 강학(講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순명효황후 한글편지]]||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세자시강원]]||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경국대전]]||{{PAGENAME}}||A는 B를 언급하였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
</gallery>
 +
<!--
 +
===영상===
 +
* 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watch?v=BttSi0kFPtA EBS 역사채널e, 귀하신 몸(조선 왕의 유모)]" (방송일: 2012.11.23), ''YouTube'', 작성일: 2013년 10월 16일.
 +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사료
 +
** 『태조실록(太祖實錄)』
 +
** 『경국대전(經國大典)』
 +
** 『중종실록(中宗實錄)』
 +
** 『시강원지(侍講院志)』
 +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 『대전회통(大典會通)』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8월 5일 (토) 15:08 판

필선
(弼善)
대표명칭 필선
한자표기 弼善
유형 관직


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1]

내용

관직의 기원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恭讓王) 때 서연(書筵) 기구를 정비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이때는 4품관으로 좌·우 2원을 두었다.[2]

조선시대 관직의 변천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太祖) 즉위 때의 관제에서도 좌·우필선(左右弼善: 正四品)을 두었으나 1461년(세조 7) 5월에 1원으로 줄여 필선으로 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초기에는 사헌부 집의(執義: 從三品)나 사간원 사간(司諫: 從三品)이, 세종 때는 집현전 관원이 겸임하기도 했으나 경국대전 이후로는 바로 위의 관원인 보덕(輔德: 正三品 堂上) 이상만 겸임관이고 필선은 전임관(專任官)으로 만들었다. 1529년(중종 24) 다시 겸필선(兼弼善: 正四品) 1원을 증원했다. 겸필선은 속대전에 수록되었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필선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필선 세자시강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경국대전 필선 A는 B를 언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필선(弼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태조실록(太祖實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 『중종실록(中宗實錄)』
    • 『시강원지(侍講院志)』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대전회통(大典會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