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선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개념기사]]
+
{{개념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헌선도
 +
|한자표기= 獻仙桃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작품
 +
|관련개념=
 +
}}
 +
=='''정의'''==
 +
고려 때 들어온 [[당악정재|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218  헌선도(獻仙桃)]",<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우리 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대개 문종 때로 추정된다.
 +
 
 +
===작품 내용===
 +
정월 보름날 밤 가회(嘉會)에 군왕을 송도(頌禱)하기 위하여 왕모(王母)가 선계(仙界)에서 내려와 선도(仙桃)를 주는 것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다.
 +
 
 +
===작품 구성 및 사용 음악===
 +
춤은 선모(仙母) 1명, 협무(挾舞) 2명, 죽간자(竹竿子) 2명, 봉탁(奉卓) 1명, 봉반(奉盤) 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장대(儀仗隊)가 따로 있으며, 반주음악은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는 당악곡(唐樂曲)만을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 말기의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에는 <[[보허자령|보허자령(步虛子令)]]>·<[[여민락령|여민락령(與民樂令)]]>·<[[향당교주|향당교주(鄕唐交奏)> 등의 음악을 사용한 것으로 전한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궁중정재무도홀기]]≫가 있다.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세자시강원]]||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고려사 악지]]||{{PAGENAME}}||A는 B를 언급하였다||
 +
|-
 +
|[[악학궤범]]||{{PAGENAME}}||A는 B를 언급하였다||
 +
|-
 +
|[[궁중정재무도홀기]]||{{PAGENAME}}||A는 B를 언급하였다||
 +
|-
 +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PAGENAME}}||A는 B를 언급하였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
</gallery>
 +
<!--
 +
===영상===
 +
* 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watch?v=BttSi0kFPtA EBS 역사채널e, 귀하신 몸(조선 왕의 유모)]" (방송일: 2012.11.23), ''YouTube'', 작성일: 2013년 10월 16일.
 +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사료
 +
** 『고려사(高麗史)』
 +
** 『고려도경(高麗圖經)』
 +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
 
 +
*단행본
 +
** 차주환, 『당악(唐樂)연구』,범학도서, 1976.
 +
**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일지사, 1977.
 +
 
 +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 이흥구, 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 . 1 , 헌선도(獻仙桃)·오양선(五羊仙)·수연장(壽延長)』, 보고사, 2008.
 +
** 국립국악원, 『궁중 뭉용 무보(7) : 사선무, 헌선도, 문덕곡, 경풍도』, 국립국악원, 1994.
 +
 
 +
*논문
 +
** 강민정, 「헌선도의 변천 양상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 김정, 「정재 창작 구성원리에 대한 일고찰 : 헌선도ㆍ경풍도ㆍ만수무ㆍ헌천화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4.
 +
** 김현주, 「당락 정재 헌선도에 관한 연구 - 문헌상의 헌선도와 현행 헌선도의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999.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8월 8일 (화) 09:45 판

헌선도
(獻仙桃)
대표명칭 헌선도
한자표기 獻仙桃
유형 작품


정의

고려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1]

내용

우리 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대개 문종 때로 추정된다.

작품 내용

정월 보름날 밤 가회(嘉會)에 군왕을 송도(頌禱)하기 위하여 왕모(王母)가 선계(仙界)에서 내려와 선도(仙桃)를 주는 것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작품 구성 및 사용 음악

춤은 선모(仙母) 1명, 협무(挾舞) 2명, 죽간자(竹竿子) 2명, 봉탁(奉卓) 1명, 봉반(奉盤) 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장대(儀仗隊)가 따로 있으며, 반주음악은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는 당악곡(唐樂曲)만을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 말기의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에는 <보허자령(步虛子令)>·<여민락령(與民樂令)>·<[[향당교주|향당교주(鄕唐交奏)> 등의 음악을 사용한 것으로 전한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궁중정재무도홀기≫가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헌선도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헌선도 세자시강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고려사 악지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악학궤범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궁중정재무도홀기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헌선도(獻仙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고려사(高麗史)』
    • 『고려도경(高麗圖經)』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 단행본
    • 차주환, 『당악(唐樂)연구』,범학도서, 1976.
    •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일지사, 1977.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이흥구, 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 . 1 , 헌선도(獻仙桃)·오양선(五羊仙)·수연장(壽延長)』, 보고사, 2008.
    • 국립국악원, 『궁중 뭉용 무보(7) : 사선무, 헌선도, 문덕곡, 경풍도』, 국립국악원, 1994.
  • 논문
    • 강민정, 「헌선도의 변천 양상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정, 「정재 창작 구성원리에 대한 일고찰 : 헌선도ㆍ경풍도ㆍ만수무ㆍ헌천화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4.
    • 김현주, 「당락 정재 헌선도에 관한 연구 - 문헌상의 헌선도와 현행 헌선도의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999.